루닛, 담도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논문 AACR 게재
루닛 스코프 IO로 면역활성 환자군 분류
비면역활성 환자군 대비 치료 결과 좋아

CCR은 미국암학회(AACR)의 학술지로, 임팩트 팩터는 10.4다.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 병리과 신진호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의대)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이충근 교수 연구팀이 주도했다. 이들은 화학항암제를 투약한 뒤 또 다른 치료로 면역항암제를 투여받은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환자 3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담도암 환자의 종양침윤림프구(TIL) 분포를 평가했다. 이후 이를 면역활성(Immune-inflamed), 면역결핍(Immune-desert), 면역제외(Immune-excluded) 등 세 가지 면역표현형(IP)으로 분류했다. AI를 활용한 종양미세환경(TME) 분석이 담도암에서 병용요법의 효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지 검증하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루닛 스코프 IO를 통해 면역활성 환자군으로 분류된 환자들은 다른 그룹보다 치료 결과가 의미 있는 수준에서 개선됐다. 면역활성 환자군은 면역결핍, 면역제외 등 비면역활성 환자군과 비교해 객관적 반응률(ORR)이 각각 27.5%, 7.7%로 높았다. 전체생존기간(OS)도 면역활성 환자군은 12.6개월, 비면역활성 환자군은 5.1개월로 나타났다. 무진행 생존기간(PFS)도 각각 4.5개월, 1.9개월이었다.
유창훈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담도암 환자가 쓸 수 있는 면역항암제가 도입됐지만, 비용 대비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며 "루닛 스코프 IO로 비싼 약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어 의료진과 환자의 고민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연구는 예후 파악이 까다로운 담도암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며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연구 결과가 실린 만큼 다른 암종에서도 AI 기반 바이오마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6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7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8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9‘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