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기피 논란’ 유승준…LA총영사관 세 번째 비자신청도 거부
LA 총영사관 “대한민국 이익 해칠 우려 있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가수 유승준이 지난해 11월 대법원 승소에도 최근 또다시 비자 발급이 거부돼 입국이 좌절됐다. 유승준은 병역 의무 기피 논란으로 입국이 금지된 지 22년째다.
29일 주LA총영사관은 유승준이 지난 2월 제기한 비자 발급신청에 대해 6월 18일 자로 거부처분 통보를 한 것이 확인됐다.
총영사관 측은 사증발급거부통지서를 통해 “'법무부에서 유승준 씨에 대한 입국 금지를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유승준 씨의 2020년 7월 2일 이후 행위 등이 대한민국의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 외교관계 등 대한민국의 이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유승준 씨에 대한 사증 발급을 다시 거부했다”고 밝혔다.
비자발급거부 취소 소송에서 두 차례나 대법원에서 승소했던 유승준은 이번 총영사관의 처분에 불복하고 이번 달 중순 법무부를 상대로 입국금지결정의 ‘부존재’를 확인하는 소송을 별도로 제기했다. 유승준의 법무부 상대 소송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7년 4월 데뷔한 유승준은 2002년 공연을 목적으로 출국한 뒤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한국 국적을 상실했고, 법무부는 그의 입국을 제한했다.
이후 유승준은 2015년 LA 총영사관에 재외동포 체류자격으로 비자 발급을 신청했으나 거부당했고, 이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해 최종 승소했다. 그러나 LA 총영사관은 비자 발급을 재차 거부했고, 유승준은 두 번째 취소 소송을 제기해 지난해 11월 다시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했다. LA 총영사관의 유승준 비자 거부는 이번이 세 번째다.
류정선 변호사는 “이는 행정청이 법원의 판결마저 무시하고 위법한 처분을 계속하는 것으로서, 유승준에 대한 인권침해일 뿐만 아니라 법치주의 근간을 훼손하는 중대한 문제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유승준이 관광비자로 입국할 수 있는데도 영리활동을 하기 위해 재외동포(F4) 비자를 고집한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다른 사증(비자)으로 소송을 하는 경우에는 소의 적법성 자체가 문제 될 가능성이 높고, 이 사건은 재외동포의 지위에서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변호사들의 권유 때문이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2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3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4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5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6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
7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
8'손흥민 빵' 나온다...파리바게뜨, 토트넘 관련 제품 출시
9비트코인, 1억2000만원대 횡보세…뉴욕증시 급락에 가상자산 전반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