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고물가·고금리에 지갑 닫혔다...2003년 이후 최저

올해 상반기 소비 둔화 지속
기준금리 인하 등 대책 필요

대형마트에서 소주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올해 내수 소비 위축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 장기화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제단체는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기준금리 인하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최근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경상지수 기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관련 지수 증가율은 2021년 8.1%에서 2022년 7.1%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물가 상승이 누적된 지난해 2.2%까지 줄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상황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2.4%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 위축 수준이 심각했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매판매액지수는 개인 및 소비용 제품을 판매하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집계해 산출한 지표다. 경상지수는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값을, 불변지수는 물가 상승 여파를 배제한 값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경제인구의 실질적인 소비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호조세인 수출과 달리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여 우려스럽다"며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기준금리 인하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새로운 투자 기회의 장 열어…'바이오 코리아 2025-인베스트 페어' 5월 개막

2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3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4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5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6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7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8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

9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

실시간 뉴스

1새로운 투자 기회의 장 열어…'바이오 코리아 2025-인베스트 페어' 5월 개막

2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3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4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5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