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30년까지 자살률 낮출것"…종합계획 내놔
'서울형 자살예방 통합모델' 구축 예정
24시간 자살예방상담 인력 늘려 강화

29일 서울시는 지난 21일 내놓은 '고립은둔종합대책-외로움 없는 서울' 후속 1탄으로,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집중 관리를 펼치던 방식에서 일상 속 시민들이 마음건강을 지속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서울시 자살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로움과 경제·사회적 복합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민 10만 명당 자살률은 23.2명으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한 서울시민 2명 중 1명은 스스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지난 3년간 우울감 경험률도 6.5%에서 8.4%로 상승했다.
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서울시민 자살율을 50% 이상 줄여 OECD 평균 수준까지 낮춘다는 목표다. 2023년 기준 OECD 국가 평균은 10.7명이다.
이번 계획에는 외로움과 고립이 심화되면 자살 위험이 증가하는 상황을 반영해 △일상 마음돌봄 △지역주도 △시민참여를 핵심으로 시민 정신건강을 선제적으로 지키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자살예방활동과 자살이 사회적 책임임을 인식할 수 있는 생명돌봄활동 등이 주요 추진과제로 담겼다.
우선 일상 속 마음 건강 돌봄을 강화한다. 시민들이 자살 고위험군으로 전환되기 전 일상 속에서 마음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상담 인프라를 확충하고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구조시스템을 구축한다.
24시간 자살예방상담 마음이음 상담전화 인력을 현재 12명에서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려 지원을 강화한다.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시민 누구나 민간의 전문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경증 우울감과 불안이 자살고위험으로 증폭되는 것을 사전 차단한다는 목적이다. 올해 2만 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확대해 2027년부터는 연간 10만 명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상담은 주1회 총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금액은 회당 8만 원이다.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자살예방 통합모델'도 구축한다. 자살고위엄군 발굴과 지원을 동단위로 추진해 더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고 정신의료기관에서 진행한 마음건강검진과 상담비용도 지원한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생명을 안전하고 폭넓게 보호하기 위해 자살예방정책 관련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서울시 자살예방위원회'를 신설·운영하고, 자살 등 각종 통계 분석과 심리 부검 강화, 자치구별 전담조직 구성 등 안전망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2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3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4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5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6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
7설화수, 美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 입점...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
8'손흥민 빵' 나온다...파리바게뜨, 토트넘 관련 제품 출시
9비트코인, 1억2000만원대 횡보세…뉴욕증시 급락에 가상자산 전반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