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 전쟁’의 서막…“캐나다‧멕시코에 관세 25% 부과”
“캐나다-멕시코産 모든 제품 대상…취임 첫날 명령할 것”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무관세’ 멕시코 진출한 韓기업 타격 우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폭탄’ 예고가 시작됐다.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1월 20일 취임 때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문서에 서명할 것”이라고 25일(현지 시간) 밝혔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는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라고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그동안 모든 수입 제품에 10~2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보편 관세를 포함해 중국에 대한 60% 관세 부과에 대한 언급은 있었지만, 중국 이외 특정 국가를 지목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는 수천 명이 미국에 전례 없는 수준의 범죄와 마약을 퍼뜨리고 있다”며 “두 나라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하길 요구하며 그렇게 될 때까지 그들은 매우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이 관세는 마약, 특히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의 침공이 멈출 때까지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고도 했다. 불법 이민과 마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더 노력하라는 메시지를 전한 것이지만, 사실상 관세 인상 명분으로 삼았다는 평가도 있다.
미국은 그동안 멕시코와 캐나다에 무관세를 적용해 왔다.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관세 부과 예고를 통해 해당 협정을 사실상 무(無)로 돌린 셈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대해 다시 한번 언급하며 “중국이 펜타닐 원료 유통을 멈출 때까지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7.5∼25%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에 더해 10%를 추가로 부과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의 수입 물량은 3700억 달러(약 490조 원) 수준이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이대로 시행되면 미국의 최대 교역국 1~3위 국가에는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은 각각 지난해 미국의 1, 2, 3위 교역국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전체 교역의 약 40%를 차지한다.
USMCA에 따른 무관세 정책을 이용해 미국 수출 확대를 계획했던 우리 기업에도 비상이 걸렸다. 기아의 경우 멕시코 누에보레온주에서 연간 생산능력 40만대 규모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한 25만2000대 중 60%가 넘는 약 15만5000대가 미국으로 수출된다. 관련 부품 기업도 멕시코 현지에 진출한 것을 고려하면 타격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밖에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북미·중남미 생산 거점을 멕시코에 두고 있다.
다만 곧바로 관세가 인상될 가능성은 작다는 해석도 있다. 미 싱크탱크 유라시아그룹 이언 브레머 회장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취임 두 달 전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역제안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했다”며 “이는 분명 (트럼프 당선인의) 의도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핀다, 지난해 가계대출 위축에도 매출 호조세 이어가
2'지옥에서 천당으로'…코스피, 관세유예에 6.6% 폭등 '축포'
3기업은행, 6월부터 ‘IBK인증서’ 통해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4설화수, 윤조에센스 팝업스토어 ‘윤빛 라운지’ 운영
5日 배드민턴 스타 "중국 갈 때마다 무서워"…스토킹 피해 호소
6매일헬스뉴트리션 ‘셀렉스’, 5년째 SSG랜더스와 함께 한다
7자라,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에 신규 매장 오픈
8'7초에 1개 팔린다'...에스트라, 더마코스메틱 페이셜케어 부문 국내 1위 등극
9'야간근무'보다 더 위험한 건 '밤 식사'…하버드의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