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유가, 美 이란 제재에 공급 우려…WTI, 1.64%↑

68.26달러 거래 마감

미국 텍사스주 카네스 시티 근처 시설의 석유 저장 탱크.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유가가 강세를 보였다. 미국이 이란을 겨냥해 새로운 제재에 나서면서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올라갔다.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10달러(1.64%) 뛴 배럴당 68.2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22달러(1.72%) 튀어 오른 배럴당 72.00달러에 마무리됐다.

국제 유가는 이틀 연속 강세를 보였다. 이날 종가는 WTI는 지난 3월 4일, 브렌트유는 2월 28일 이후 최고치다.

미국이 이란에 대해 새로운 제재안을 발표하면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됐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중국 산둥성에 있는 정유사(Luqing Petrochemical)와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를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 정유사는 약 5억달러어치의 이란산 원유를 수입했으며 이 과정에서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 및 이란 국방부와 연관성 때문에 사용이 막힌 유조선을 이용하기도 했다고 재무부는 설명했다.

이날 미국 국무부도 이란산 원유를 구매해 저장한 중국의 원유 터미널 한 곳을 제재했다.

이란산 원유나 관련 시설을 사용하는 대상에 잇달아 미국 정부가 제재를 가하면서 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커지는 상황이다. 중국은 이란 석유의 최대 수입국으로 이 같은 제재는 공급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

프라이스퓨쳐스그룹의 필 플린 수석 분석가는 "우리는 시장을 움직일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촉매를 찾고 있었다"며 "(이란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우리를 다시 고점으로 밀어 올려주는 티켓이었다"고 평가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는 7개 회원국에 대한 새로운 산유량 감축 일정을 발표했다.

OPEC에 따르면 월간 감산 규모는 하루 18만9천배럴에서 43만5천배럴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감산 조치는 2026년 6월까지 지속될 예정이다.

오안다의 켈빈 웡 수석 시장 분석가는 "현재 원유 시장의 변동성이 큰 가운데 점진적인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며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이스라엘 및 하마스 간의 긴장 고조는 유가 상승을 유도하는 재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셀트리온, 중남미 지역 주요 국가 입찰 성과 확대

2아이더세이프티, ‘2025서울모빌리티쇼’서 프리미엄 워크웨어 신제품 공개

3쿠팡, 3조원 돌파…온라인쇼핑 1위 독주 체제 굳건

4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5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

6美 관세 충격에도…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숨 고르기’

7코스피, 기준금리 동결에 상승 전환…기관 매수에 2460선 회복

8KB증권, 해외주식 타사대체 입고 이벤트 실시

9삼성증권, 블룸버그 WTI원유 선물 추종 ETN 3종 상장

실시간 뉴스

1셀트리온, 중남미 지역 주요 국가 입찰 성과 확대

2아이더세이프티, ‘2025서울모빌리티쇼’서 프리미엄 워크웨어 신제품 공개

3쿠팡, 3조원 돌파…온라인쇼핑 1위 독주 체제 굳건

4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5한화 금융계열사, 대전서 ‘라이프플러스 브랜드 데이’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