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에도 20대 같은 치아 가능
80대에도 20대 같은 치아 가능
|
‘8020’. 80세의 나이에 최하 20개의 치아로 20대의 치아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다. 이것이 가능할까. 치아는 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징표다. 때문에 돋보기와 더불어 틀니는 노인의 상징이기도 하다. 하지만 치아는 관리하기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튼튼한 기관으로 수천 년 된 미라에서도 치아가 잔존하는 것을 볼 수 있을 정도. 누구나 건치 노인으로 선발된 어르신처럼 평생 건강한 이를 유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사람의 치아 건강 상태가 낙제점이라는 사실이다. 성인 4명 중 1명이, 그리고 40대 이상에선 70%가 잇몸 질환을 앓고 있다는 통계가 이를 말해준다. 어떻게 해 8020을 실현할 수 있을까?
조기발견→ 조기치료가 최선 무엇보다 40대가 중요하다. 40대를 어떻게 유지하느냐에 따라 8020의 성패가 달려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65세 노인이 지니고 있는 자연니 숫자는 평균 12.1개. 사랑니 4개를 포함해 32개가 정상이니 절반도 유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자연니 상실의 발단은 주로 40대에 시작된다.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예방과 조기발견·조기치료를 하면 나이가 들어서도 자연니를 가질 수 있다.
|
치아 금가거나 조각나면 조심 치아 균열은 모두 치아를 과신한 결과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로 병뚜껑을 따고, 딱딱하고 질긴 것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많다. 일단 치아가 갈라지면 자연 접합이 되지 않으므로 조기 진단해 치료받아야 한다. 미세한 치아 균열을 알아내기 위해선 광투과 검사와 염색 검사 등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동네치과에서는 확진이 어렵고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 치과에 가야 받을 수 있는 진료다. 치아 균열도 치과 질환인 만큼 평소 고기의 뼈나 연골을 자주 씹어먹지 말고 딱딱한 과자나 과일, 건어물을 먹을 때 주의한다. 치아가 깨졌을 때는 깨진 깊이와 부위에 따라 치료가 달라진다. 깨진 정도가 깊어 신경이 노출되거나 치수에 심한 자극이 가서 문제가 되면 신경치료를 우선하고 이를 씌워준다. 그렇지 않으면 깨진 부위와 양에 따라 적당한 재료로 해당 부위만을 충전해 주거나 전체적으로 씌워주는 보철치료를 해준다. 턱에 생기는 골관절염에도 주의를 요한다. 관절염은 무릎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다. 턱에도 관절이 있으니 당연히 관절염의 위험성이 있다. 전문용어로는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이다. 무릎에 생긴 퇴행성 관절염이 과도한 사용에 의해 발생하듯 턱관절염도 마찬가지다. 이를 악무는 습관을 지닌 사람에게 흔히 나타난다. 스트레스나 긴장 상황은 물론 잠을 자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이를 악문다. 초기 증상은 턱을 벌릴 때 모래가 갈리는 소리, 또는 딱딱거리거나 으드득하는 소리가 나면서 통증이 시작된다. 통증이 심할 때는 입을 벌리기 힘들어하는 환자도 있다. 치료 1단계에선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한 약물치료와 냉각요법, 온열요법, 전기이온영동법 등의 물리치료를 한다. 그리고 교합안정장치 등 보존적 치료를 하며 6개월간 경과를 지켜본다. 가정에서 지켜야 할 수칙도 중요하다. 단단한 음식은 피하고, 이를 악무는 습관을 개선해야 하는 것이다(상자기사 참조). 턱 부위의 계속된 통증은 턱의 형태와 기능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고 조기진단과 치료를 꼭 받도록 하자. ※ 도움말: 경희대 치대병원 구강내과 홍정표 교수, 동서신의학병원 치주과 박준봉 교수
턱관절염 환자의 생활수칙 1. 딱딱하고 질긴 음식 대신 작고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다 2. 의식적으로 입을 크게 벌리지 말고, 하품도 작게 한다 (혀를 입천장에 대고 떨어지기 직전까지만, 또 손으로 턱을 받치고 머리를 숙여 가급적 입을 작게 벌리고 하품한다) 3. 평상 시 이를 악물지 않는다 (입술은 다물되 위·아랫니는 2~3㎜ 떨어져 있도록 한다) 4. 아프거나 뻣뻣한 환부를 65도 정도 온도로 찜질한다 5. 무거운 물건을 매거나 들지 않는 것이 좋다 (이를 악물기 때문) 6. 스트레스는 통증을 악화시키므로 스트레스 관리법을 익힌다 (휴식, 헬스, 요가, 독서, 음악감상, 점진적 근이완, 상담 심리치료 등)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세계까사 마테라소, ‘제로 웨이스트’ AI 광고 온에어
2한화 유통·서비스 뭉쳤더니...갤러리아 광교 핫플 급부상
3'가격 인상, 질 수 없지' 담뱃값도 들썩…얼마나 오르나
4쿠팡, 고령군 농가 500곳 손잡고 딸기·수박 등 신규 매입
5크라운해태, 광주 시민 위한 전통음악 공연 개최
6'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7"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8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9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