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주자들에 ‘정책 세일’ 압박용?
대권 주자들에 ‘정책 세일’ 압박용?
최근 2주일 사이 5개 생겨 조용수 박사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0대 성장 동력산업은 대부분 제조업·기술 중심”이라며 “환경 에너지와 디자인, 금융, 법률 등과 같은 비즈니스 서비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가 제안한 8대 유망 산업군은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환경 에너지, 차세대 통신, 지능형 부품·소재, 메카트로닉스, 비즈니스 서비스, 라이프 서비스. 이와 관련해 조 박사가 ‘제조업 기반의 서비스산업 육성’을 강조하자, 정경원 카이스트 교수는 “서비스나 솔루션이 뛰어나도 제조업이 없으면 사상누각”이라고 했다. 임승순 한양대 교수는 “신성장동력 산업을 선정하는 것에 앞서 국내 산업의 전반적인 기술을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토론은 시종 진지했다. “새로운 산업 육성에서 인재 양성 부문이 등한시된 것 같다”(김현수 성균관대 교수), “기존 산업이나 제품을 업그레이드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한 축과 기존에 없던 것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또 하나의 축을 갖고 이 문제를 고민해 보자”(이은호 전경련 부회장) 등의 의견도 교환됐다. 대선 후보들이 TV토론에 나와 “10년 후 한국이 무엇을 먹고살아야 하나?”를 놓고 벌일 논의와 고민을 이들이 이른 아침에 모여 하고 있었다. 앞서 지난 5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는 ‘국가 미래정책 포럼’이 출범했다. 오명 (전 과기 부총리) 건국대 총장이 이사장을 맡은 이 포럼에는 학계를 중심으로 120여 명의 전문가가 모였다. 오명 이사장은 “국가와 사회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 전환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국정운영 시스템의 정비 없이는 우리나라의 생존과 발전 전망은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 직속기구로 국가미래전략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국가미래정책포럼 산하 국가미래정책연구원장을 맡은 김성태 성균관대 교수는 “영국의 총리 직속 미래전략처,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 핀란드 국회 소속 미래상임위원회처럼 우리나라도 국가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할 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교수는 “이 모임은 미래를 향한 지식인 연대로 우리나라가 당면한 문제를 미래지향적으로 조명하고 대안을 제시해 비전 있는 정책 수립과 집행이 이루어지게 하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칭 국가미래전략처는 오래 전부터 신설이 논의됐던 기관. 하지만 여야 어떤 후보도 이를 공약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같은 날, 산학연 1000여 명이 회원으로 참가하는 ‘차이나 포럼’도 출범했다. 대한상공회의소, 무역협회가 주관하고 산업자원부가 후원하는 이 포럼은 중국에 대한 국가 전략 마련을 위한 민관 공동 네트워크 형태다.
정치적 목적이란 시각도 중국 리스크가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자’는 취지에서 발족한 차이나포럼은 정부와 재계·학계가 머리를 맞대 중국 발전방향을 분석·전망하고 그 결과를 정부 정책과 기업 전략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미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북한 경제를 연구하는 한반도미래포럼도 지난 5일 출범했다. 정덕구(전 산자부 장관·고려대 교수) 니어(NEAR)재단 이사장이 주도한 이 포럼에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한미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정덕구 이사장은 이날 포럼 출범식에서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경제공동체 구성을 통한 동북아 신질서를 구축할 때 주도적 구실을 할 싱크탱크가 필요하다”며 “한반도미래포럼은 한반도 경제 구상을 목표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실질적 연구와 국제 지적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민간 포럼이 잇따라 출현하는 것과 관련, 일각에서는 “대선 캠프 공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일환”이라는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실제로 각 대선캠프는 그동안 공약을 만드느라 각종 산업협회, 시민단체, 기관, 학회 등과 다각적인 접촉을 벌였다. 한 예로 한국벤처협회 관계자는 “여야 할 것 없이 캠프 쪽에서 공약을 만들 아이디어를 제출해 달라는 요청이 많았다”며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최대한 얻을 것은 얻는다는 방침에 따라 요구사항을 만들어 제출했다”고 말했다. 대선을 앞두고 경제포럼이 출범하는 것 역시 이 같은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지난 9일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신성장동력포럼’ 출범식에 참석한 한 대기업 상무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주도하고 기업은 따르라는 분위기에 이번 포럼 출범이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전경련과 국가미래정책포럼 측은 “순수한 의도로 출범한 것이지, 정치적 고려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2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
3'트럼프의 입' 백악관 입성하는 20대 女 대변인
4주유소 기름값 5주 연속 상승…“다음주까지 오른다“
5트럼프에 뿔난 美 전기차·배터리업계…“전기차 보조금 폐지 반대”
6"백신 맞고 자폐증" 美 보건장관의 돌팔이 발언들?
7‘APEC CEO’ 서밋 의장된 최태원 회장…‘b·b·b’ 엄치척 의미는
8기업가치 70조 머스크의 ‘xAI’…“엔비디아 칩 10만 개 매입 예정”
9윤-시진핑, 한중정상회담서 방한-방중 서로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