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두산 공용어로 쓸 생각”
“영어를 두산 공용어로 쓸 생각”
|
“인수보다 시너지에 관심” “지금까지 사람들은 우리가 밥캣이라는 큰 덩치의 외국 회사를 인수했다는 데만 관심이 많았지, 우리와 얼마만큼 시너지를 내느냐에 대한 미래 가치에 대해선 눈여겨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기업과 기업의 결합은 단순히 매출이 늘거나 시장이 확대되는 차원이 아닙니다. 서로 문화를 공유하게 되면 두 기업은 하나의 유기체가 되고, 이를 통해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게 되죠.” 두산 외에도 과거 국내 대기업들이 해외 기업 M&A에서 성공한 사례가 더러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M&A 이후에 낭패를 봤다. 이질적인 두 문화의 기업이 만나면서 여러 문제점을 낳았고 이는 결국 회사의 존립까지 흔들었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두 나라의 문화가 이질적일지는 모르지만 성공한 기업들의 문화는 비슷하다는 게 우리의 결론”이라며 “이를 위해선 두 회사 모두 글로벌 스탠더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에 대한 일환으로 향후 두산그룹의 공용어를 영어로 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박 회장은 “일정 직급 이상이나 글로벌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영어를 사용하도록 할 생각”이라며 “사실 지금도 회의에서 한 명이라도 외국인이 끼어 있으면 회의를 영어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기업을 향한 박 회장의 행보는 외부적인 상황과 무관치 않다. 박 회장은 “현재 미국 경제가 기침을 하면 우리는 폐렴을 앓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표준이 되면 외부적인 요인에 상관없이 우리가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회장의 강력한 주문으로 직원들 사이에선 이미 ‘글로벌화’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지난 추석 때 박 회장은 미국 노스타코타 현지에 가 있는 두산의 밥캣 인수팀에 전화를 걸어 “명절 음식을 보내주겠으니 차례를 지낸 후 음식을 먹으면서 고향 분위기를 느끼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하지만 인수팀은 “아무리 우리 고유의 명절이라도 우리가 그런 행사를 한다는 자체가 현지 직원들로선 부담이 될 것 같다”며 박 회장을 만류했다. 박 회장은 “이 정도면 제 주문이 어느 정도 먹힌 거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두산은 지난 10여 년 동안 잇따른 구조조정과 M&A에 성공하며 덩치를 키웠다. 97년 2조7000억원에 불과했던 그룹 매출은 지난해 18조2000억원을 달성했다. 그동안 내실도 탄탄해졌다. 98년 1600억원에 불과했던 영업이익(EBIT)이 지난해 1조6000억원으로 무려 10배나 뛰었다. 두산은 최근 밥캣 인수처럼 국내뿐 아니라 해외 기업 M&A에서도 승승장구했다. 발전소 보일러 원천기술을 가진 영국 미쓰이밥콕, 친환경 엔진 원천기술 업체인 미국 CTI, 수(水)처리사업 원천기술을 가진 미국 AES사 등을 잇따라 인수한 것이 좋은 예다. 박 회장은 “국내 중공업 회사들을 인수해 보니 기술력이 선진국에 비해 떨어지고 새로운 시장 개척이 쉽지 않았다”며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기술을 갖추고 시장을 넓히는 데 가장 빠른 방법이 그 기술과 시장을 가진 업체를 인수하는 것이더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평소 순간적인 상황이나 운에 의존해 승부를 내는 내기 골프나 도박을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중목욕탕의 열탕에 들어가도 상대방이 먼저 나갈 때까지 절대 나가지 않는 것과 같은 ‘끈기’ 있는 승부를 즐긴다. 박 회장이 M&A에 성공한 비결도 이와 무관치 않다. “가장 잘하는 M&A는 파는 기업과 사는 기업 모두 사이 좋게 윈윈으로 끝나는 겁니다. 하지만 그 회사에 관심이 있는 경쟁자가 있을 경우엔 승부사 기질이 발휘될 때가 있어요. 이럴 경우엔 잘게 승부를 걸면 상대방은 경쟁자를 의식해 계속 뒷걸음질할 뿐입니다. 우리가 향후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제대로 산정해 한 번에 상대방에게 제시해야 그들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박 회장의 또 다른 M&A 성공비결은 ‘항상 준비된 M&A’라는 점이다. 박 회장은 “M&A에 능하기 위해선 평상시에 준비해야 한다”며 “우리는 내부 준비팀을 통해 우리와 관련된 회사 수백 개를 ‘쇼핑 리스트’에 담은 후 그 가치를 산정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은 밥캣 인수 역시 공식적으로는 지난 5월에 뛰어들었지만 처음 검토한 것은 2년 전이었다.
“좋은 회사 굳이 흔들 필요 있나” M&A에 대한 목적도 분명하다. 현재 두산의 M&A는 ‘글로벌 인프라 왕국’을 향한 퍼즐 맞추기와 같다. 박 회장은 “전 세계엔 지금 중동·중국·인도 등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건설, 기계, 발전소, 담수시설 등 인프라 시장이 매년 수백 조원씩 급증하고 있다”며 “우리로선 기존 인프라 분야에서 시장점유율을 늘릴 수 있거나 아예 새로운 인프라 시장에 진입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회사를 인수해 왔고 앞으로도 인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수한 기업은 철저하게 ‘현지화’로 꾸려지는 것이 두산 M&A의 특징이다. 점령군 파견도 최대한 자제하고 현지 경영진을 그대로 유지한다. 해외 기업의 경우 법인명도 바꾸지 않는다. 박 회장은 “과거 두산중공업이나 두산인프라코어의 경우 인수 후 그 회사에 파견한 직원은 과장급 이상만 따질 때 10명에 불과하다”며 “기존에 잘나가고 있는 회사를 인수했기 때문에 우리가 애써 흔들 필요는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밥캣도 현 경영진을 비롯한 고용 인력을 그대로 유지했다. 박 회장은 “경쟁력 있는 경영진이니까 세계 1위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재계에서 초미의 관심을 일으키고 있는 현대건설 인수와 관련해선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겠다”며 “우리와 관련된 모든 기업이 관심 대상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