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Hot Issue >>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Hot Issue >>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하계 다보스포럼 당시의 원자바오 총리. 당시 경제성장에 낙관적이던 원 총리는 10월 초 들어 핵심지역 특별시찰을 서두르고 있다.

다시 중국경제에 눈을 돌리는 이가 늘고 있다. 중국경제를 놓고 갑론을박도 시작됐다. 최근 중국의 3분기 성장률 통계가 발표되면서 분위기가 심상찮다. 9.1%라는 숫자를 놓고서다. 1분기 9.7%에서 2분기에 9.5%로 내려서더니 이번 3분기에는 겨우 9%선에 턱걸이했다. 추세적으로 보면 내리막길이 분명하다. 이를 두고 시각은 둘로 갈린다. 마치 술잔 속 술을 보는 두 개의 엇갈린 시선을 떠올리게 한다. “아직도 반은 남았다”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이제 반도 안 남았다”고 보는 시각도 가능하다. 세상을 보는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시각이 팽팽히 맞선다. 그만큼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3분기 성장률은 선방했지만…9.1%라는 숫자를 계기로 중국경제가 연착륙 중이라는 신중론을 여전히 제기하는 그룹이 있다. 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는 건 인플레를 막고 과열을 막기 위한 거시경제 정책 조정의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주장이다. 다른 시각도 엄존한다. “이러다 중국경제마저 경착륙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세계경제를 먹여 살려온 미국과 유럽경제가 죽을 쑤는 와중이다. 미국은 국가신용등급이 떨어져 망신을 당했고, 유럽도 국채 위기로 사활의 기로에 서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경제마저 경착륙한다면 글로벌 경제 전체에 파국이 올 수 있다는 극단적 비관론도 고개를 든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10월 18일 3분기 성장률 통계를 발표하면서 “중국경제는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중국경제에 앞으로 얼츠탄디(二次探底·더블딥) 가능성은 아주 작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반신반의하게 된다.

중국경제는 정말 괜찮은가. 도대체 어떤 위기 징후들이 감지됐나. 비관론의 뿌리는 무엇인가. 한국경제를 걱정하는 이들이라면 중국경제를 둘러싼 일련의 궁금증과 의문이 드는 건 당연하다. 주요 2개국(G2)으로 도약한 거대 중국경제의 동향에 따라 한국경제가 받는 충격이 크기 때문이다.

한 기업의 사정이 어떤지를 알려면 CEO의 동정을 살피는 게 빠를 때가 있다. 그런 측면에서 중국경제의 최고 사령탑인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최근 동선을 복기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 원 총리는 10월 초부터 의미심장한 행보를 보여줬다. 그는 건국기념일 연휴기간에 동부와 남부의 핵심 지역을 특별 시찰했다. 그는 3∼4일 저장(浙江)성 사오싱(紹興)과 원저우(溫州)를 잇따라 찾았다. 그의 행보는 통상적인 지방 순시와는 차원이 달랐다. 특히 중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7월 고속철 추돌 참사 이후 3개월 만에 원저우를 찾았지만 고속철 사고 원인에 대한 발표는 한 줄도 없었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과 셰쉬런(謝旭人) 재정부장이 원 총리를 수행한 것은 예사롭지 않았다. 원 총리의 더 큰 관심은 원저우에서 불거진 중소기업 줄도산과 기업주들의 야반도주 사태의 실상을 챙겨보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9월 초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에서 세계경제포럼(일명 하계다보스포럼)이 열렸을 때만 해도 원 총리는 다소 여유가 있었다. 그는 중국의 유럽 국채 위기 지원 여부에 대해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MES)를 조건으로 내걸 정도였다. 마치 유럽의 눈에는 구세주처럼 보일 법도 했지만 이제는 중국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형국으로 상황이 급변했다.

‘중국의 유대인’으로 불려온 원저우 사람들은 부동산 호황기에 전국을 상대로 투기해 큰돈을 챙겼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정책으로 부동산 거품이 빠지면서 극심한 자금난에 직면했다. 원 총리는 원저우에서 “쉽지 않은 상황인 건 분명하다”고 진단하면서 “믿음을 갖고 문제를 제때 처리하면 양호한 경제발전을 유지해 갈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저장성 당위원회와 성정부에 “중소기업의 자금부족 사태와 사채 문제 해결에 적극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중국 수뇌부 분주하게 움직여열흘 뒤 원 총리는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로 달려갔다. 때마침 열린 110회 캔턴 페어(Canton Fair, 廣州交易會)를 계기로 수출기업에 대한 정책지원을 약속하기 위해서였다. 그만큼 중국 수출기업들은 중국의 최대 시장인 EU(유럽연합) 회원국들의 국채 위기와 미국의 경기침체로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었다. 수출 기업인들은 원 총리에게 “인건비 급등, 원부자재 가격 인상, 위안화 절상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대책을 호소했다. 원 총리는 수출기업에 세금 환급정책을 계속하고 신용지원을 강화하며 위안화 환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 총리의 의미심장한 동남부 시찰과 그가 보여준 언행만 봐도 최근 중국경제가 비상한 국면에 처했다는 판단을 눈치 채기에 족했다.

올 상반기까지 중국경제는 상당히 순항했다. 8월 초 미국 신용평가업체 S&P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할 때까지만 하더라도 중국은 남의 일처럼 여기는 분위기까지 있었다. 그러나 9월로 접어들면서 중국경제에도 이상 징후가 속속 포착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반응이 나타난 곳은 중국경제의 대동맥이 밀집한 동부 연안이었다. 그중에서도 민영기업이 집중적으로 분포된 저장성이었다. 원저우는 저장성에서도 가장 먼저 문제가 수면으로 표출된 대표적 도시로 꼽힌다. 이곳에는 중소기업만 3993개가 있다. 기업의 줄도산 사태가 벌어지고 기업인들의 야반도주가 속출하고 있다는 사실이 외부에 속속 폭로된 것이다. 2007~2008년 산둥(山東)성 일대의 한국 기업인들의 야반도주보다 심각하다는 얘기도 있다.

‘안경 대왕’으로 불려온 원저우의 대표적 안경 제조업체 신타이(信泰)그룹 사태는 파장이 컸다. 후푸린(胡福林) 회장이 9월에 갑자기 실종됐다. 20억 위안(약 3500억원)에 이르는 거액의 채무를 갚지 못해 야반도주한 것이었다. 그는 한 달 뒤 미국에서 돌아왔지만 그의 야반도주가 던진 사회적 충격파는 컸다. 원저우에서는 올 초부터 산치(三旗)그룹, 장난(江南)피혁, 보터만(波特曼) 등 대표 기업들이 잇따라 도산했다.

부도와 야반도주는 닝보(寧波) 등 다른 저장성 도시로 번졌다. 원저우가 가장 대표적이지만 중국의 다른 도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속출하고 있다. 원저우와 비슷하게 부동산·광산 투기가 횡행했던 네이멍구(內蒙古) 오르도스가 좋은 예다. 현지에서도 고리대로 인한 야반도주가 잇따르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광둥성에서도 야반도주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광둥의 수출 중소기업들도 원저우처럼 사채를 많이 끌어다 써왔기 때문이다. 중국경제의 양대 축인 창장(長江)삼각주와 주장(珠江)삼각주 기업들이 동시에 어려움에 처했다는 것이다.

‘기업주 도주 조사보고’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저장성에서만 228명의 중소기업주가 줄행랑을 쳤다. 야반도주가 급증한 것은 세계경기 둔화로 제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통화긴축으로 자금난이 심화했고 상당수 기업이 부족한 자금을 고금리 사채로 융통했다 원리금 상환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저우의 사채시장 규모는 8000억~1조 위안(179조원)에 이르고 연이율은 최고 180%나 됐다. 매출액 대비 이익률이 3~5%에 불과한 중소기업들이 최고 180%에 달하는 고리대를 끌어다 썼다. 인민은행 원저우 지점에 따르면 원저우 사채시장 이용자의 59.7%가 기업인이었다. 기업들은 사채를 끌어다 기업경영에 쓰기도 했지만 부동산 투자비율도 20%나 됐다.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면서 사채 대출의 10~15%인 약 1500억 위안(약 26조원)이 상환불능 상태라는 분석도 나왔다. 원저우 중소기업발전촉진회 저우더원(周德文) 회장은 “원저우 기업 중 약 30%가 자금난으로 어려움에 빠졌다”며 “더 큰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부정적 신호는 이뿐만이 아니다. 중국이 내년에 무역적자를 볼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상무부 부부장(차관)을 역임한 웨이젠궈(魏建國)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비서장은 “전통적으로 축제 기간을 앞둔 9∼10월 유럽과 미국에서 계약과 주문이 폭주하는데 올해는 급감했다”며 “중국의 수출이 가장 힘든 시기를 맞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해 1830억 달러의 흑자를 냈지만 올해는 500억∼1000억 달러 수준으로 급감하고 내년에는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1994년 이후 줄곧 막대한 무역흑자를 봐왔다.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 상장된 830개 기업의 3분기 실적도 둔화됐다. 이들 기업의 20%는 3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둔화됐거나 손실을 봤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건설·부동산과 자동차 업종의 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치(一汽)자동차 관계자는 “긴축정책과 자동차 구매세 할인정책 폐지, 대도시의 자동차 구매 제한 등 악재들이 겹쳐 올 들어 3분기까지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최대 80% 급감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9월 말 현재 3조2017억 달러로 전월 말 대비 608억 달러 축소돼 2010년 5월 이후 16개월 만에 처음이다. 중국 경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주가는 바닥을 기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최근 2300선으로 밀렸다. 2009년 3월 24일(2338포인트) 이후 2년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거품 붕괴 우려 커져한화차이나 최영진 팀장은 “작금의 위기 징후는 2008년에 씨가 뿌려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2008년 하반기에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중국 정부는 그해 말 4조 위안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자동차 산업과 가전 산업에 소비 보조금을 지급했다. 내수를 살리기 위해서였다. 그 결과 중국경제는 빠르게 회복한 게 사실이다. 문제는 인플레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됐다. 물가가 급등하면서 중국 정부는 유동성 회수에 박차를 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수차례 올렸다. 금리도 속속 인상했다. 그러나 최근까지 중국의 물가상승률은 6%를 웃돌고 있다. 물가는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가 거품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베이징 시내의 아파트 단지.

중국 정부는 유동성을 조이면서 강력하게 부동산 억제 정책을 폈다. 이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거품 붕괴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집값은 올 들어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으며 최근까지 횡보 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10월 19일 발표를 보면 9월 주택 가격은 신규 주택의 경우 70개 대도시 중 17곳에서 전달보다 하락했다. 기존 주택의 경우 8월보다 가격이 떨어진 도시는 25곳, 가격 변화가 없는 도시는 21곳이었다. 부동산 경기 침체는 거품 붕괴의 우려감을 키우고 있다. 빚을 내 집을 산 사람들로서는 은행 대출금 상환조차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 실제로 원저우를 비롯해 각지에서 부동산 투기를 했던 사람들은 ‘돈맥경화’에 빠졌다.

지방정부의 채무 위기도 중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미국에서 발생한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중국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극단적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중국 심계서(감사원에 해당)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국 성·시·현 단위 지방정부의 부채잔액 총액은 10조7170억 위안(약 1918조원)이었다. 중국 명목 GDP(국내총생산)의 26.7% 수준으로, 중앙정부 부채 6조7527억 위안을 크게 웃돈다. 지방정부의 부채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시행됐던 최근 2년 동안 급증했다. 2008년 말 지방정부 부채잔액은 5조6000억 위안이었다. 중국 재정부 재정과학연구소 자캉(賈康) 소장은 “중국 시 단위 지방정부의 약 20%와 현 단위 지방정부 3%의 부채비율이 100%를 넘었다”고 밝혔다.

지방정부 부채잔액 중 내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는 4조5000억 위안(약 805조원)이다. 중앙정부가 강력한 부동산 억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부동산 가격 거품이 꺼져 지방정부의 수입원이 급감한 상황이다. 지방정부 부채 중 89%는 은행대출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 공기업의 채무 이행능력이 떨어지면 은행들이 연쇄 도산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방정부들이 막대한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면 대출해준 은행권의 부실로 불이 옮겨 붙을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금융시스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S&P는 중국 지방정부 부채의 30%가 부실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의 대응은 의외라고 할 정도로 차분하고 신중하다. 거시정책의 방향을 바꿀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파격적인 부양책을 내놓을 조짐은 현재로선 보이지 않고 있다.

대신 중국 정부는 사안별로 각개격파식 대증요법을 쓰고 있다. 자금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10월 12일 공개했으나 세부담을 줄여주고 대출을 독려하는 제한적 조치였다.

원저우에서 문제가 집중적으로 불거지자 원저우 일대를 ‘국가금융종합개혁시험구’로 지정해 금융개혁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2009년부터 중앙정부(재정부)가 지방정부를 대신해 채권을 발행하도록 해온 관행을 깨고 저장성 정부가 80억 위안(약 1조4300억원)의 지방채권을 발행하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원자바오 총리를 비롯해 중국 당국자들은 부산하게 움직이면서도 “중국경제는 전체적으로 보면 여전히 양호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를 계속 내보내고 있다. 경제는 시장참여자들의 심리가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섣불리 위기론을 확산시키면 진짜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국가통계국 성라이윈(盛來運) 대변인은 기업 줄도산 사태에도 “아직은 위기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시진핑 시대 개막 전 위기 닥칠 수도중국 정부의 속내를 읽을 수 있는 해프닝도 있었다. 광둥성 포산(佛山)시 정부는 10월 11일 오전 “주택구입 제한 조치를 완화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오후에 중앙정부가 제동을 걸면서 없던 일이 됐다. 전형적인 조령모개(朝令暮改)였다. 중앙정부 입장에서는 아직 부동산 정책을 손질할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중국 국가신식(정보)센터 경제예측부 판젠핑(范劍平) 주임은 “중국이 경제 성장을 계속하려면 내수 비중을 높여야 하겠지만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며 “내수 부진이 중국 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미국과 유럽의 국가 채무 위기에 따른 침체 확산을 막는다는 이유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같은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다시 동원해서는 안 된다. 급격한 인플레를 초래해 물가 통제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거시정책의 수정 여지는 여전히 있다. 중국 정치 일정과 경제의 상관 관계 때문이다. 중국은 내년 말에 ‘시진핑(習近平)시대’를 여는 18차 당대회가 예정돼 있다.

중국경제가 4분기 이후 내년 상반기까지 줄곧 7∼8%의 저성장 기조가 계속돼 경착륙 우려가 고조된다면 상황이 급반전될 수도 있다. 위기가 현실화된다면 대규모 부양정책을 다시 만지작거릴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여전하다. 어쨌든 중국경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한국경제 입장에서는 올겨울 중국대륙에서 날아올지도 모를 초대형 한파주의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미리미리 대비하는 지혜가 어느 때보다 절실해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보편관세’ 시행되면 현대차·기아 총영업이익 19% 감소

2나이키와 아디다스가 놓친 것

3‘NEW 이마트’ 대박 났지만...빠른 확장 쉽지 않은 이유

4종부세 내는 사람 4.8만명 늘어난 이유 살펴봤더니…’수·다·고’가 대부분

5인도서 ‘일하기 좋은 기업’ 2년 연속 선정된 LG전자

6‘쉬다가 쇼핑하는 곳’ 전략 통했다…이마트의 진화

7‘성매매 무혐의’ 최민환, “율희 일방적 주장" 일파만파 퍼져...

8‘혼외자 논란’ 닷새 만에 '정우성' 고개 숙였다

9내년 '연봉 3배' 콜?...브레이크 없는 인재 채용 '치킨 게임'

실시간 뉴스

1‘트럼프 보편관세’ 시행되면 현대차·기아 총영업이익 19% 감소

2나이키와 아디다스가 놓친 것

3‘NEW 이마트’ 대박 났지만...빠른 확장 쉽지 않은 이유

4종부세 내는 사람 4.8만명 늘어난 이유 살펴봤더니…’수·다·고’가 대부분

5인도서 ‘일하기 좋은 기업’ 2년 연속 선정된 LG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