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 주민이 즐기고 화합하는 축제의 장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 주민이 즐기고 화합하는 축제의 장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중앙일보가 공동주최한 ‘제1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본선에 등장한 마을들이다. 농식품부는 마을 만들기 우수 사례를 발굴·확산해 행복하고 활력 있는 마을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콘테스트를 기획했다. 이번 콘테스트는 주민들이 즐기고 화합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됐다. 이번 콘테스트를 위해 전국 각지 1500여명의 마을주민이 본선에 참석했다. 저마다 마을을 소개하고 동아리 공연을 펼치는 등 한껏 동네 자랑에 나섰다.
대회는 ‘함께 만들어요, 행복한 우리 마을’이란 슬로건으로 진행됐다. 전국 1891개 마을이 참여해 도별 예선을 거쳐 27개 마을과 9개 시·군이 본선 경연을 벌였다. 경연은 경관과 환경을 개선하는 ‘아름다운 마을’, 소득을 높이고 체험형 마을을 꾸미는 ‘잘사는 마을’, 문화와 복지가 잘 마련된 ‘살기 좋은 마을’, 좋은 마을을 만들 수 있도록 배경을 마련한 ‘시·군’ 부문 등 4개 분야로 나눠 진행됐다. 각 분야별로 금상과 은상 각 1개 마을, 동상은 2개 마을을 선정했다. 경관·환경 분야엔 충북 옥천군 안터마을, 소득·체험 분야엔 경기 양평군 여물리마을, 문화· 복지 분야엔 제주 서귀포시 가시리마을, 시·군 분야엔 경남 합천군이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자연생태계 복원으로 생태마을로 거듭나

자연생태계가 복원되면서 마을 주민들은 제초제를 쓰지 않고 화학비료 사용을 가능한 줄였다. 주민들의 노력은 곧 효과를 나타냈다. 반딧불이에 이어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가 발견됐다. 실개천에는 가재 수가 크게 늘었다. 안터마을이 ‘살기 좋은 마을’로 소문나 귀농·귀촌 인구가 늘자 마을이 젊어지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어린 아이들과 부모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각종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냈다. 자연생태계 복원은 주민 소득으로 이어졌다.
양평군 여물리마을도 청정 환경을 적극 활용했다. 수도권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을 활용해 로컬푸드사업을 펼쳤다. 또 캠핑장, 외국인 농가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많은 관광객을 마을로 끌어 모았다. 마을은 관광사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소득을 증대시켰다. 여물리마을에는 마을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깨끗한 냇물이 있다. 이 냇물로 여물리는 한강상수원 보호 2급 지역이다. 오·폐수를 배출하는 어떤 시설도 들어설 수 없어 마을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생산시설은 물론 상업시설도 만들 수 없었다. 하지만 개발을 가로 막던 걸림돌이 오히려 장점이 됐다. 여러 귀농·귀촌인들이 들어오면서 깨끗한 환경을 활용한 체험마을을 꾸미기 시작했다. 캠핑 체험, 농촌 체험, 농산물 판매 등을 하나로 엮은 프로그램으로 도시인들이 마을을 찾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영농법인을 설립해 국산콩·고추·뽕잎차·토종벌꿀 등 제철 농산물을 생산해 농촌을 찾은 도시인들에게 판매해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
제주 서귀포시 가시리마을은 수요자 중심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목 받았다. 2009년 이후 시작된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과 신문화공간 조성 사업으로 많은 주민이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동아리 활동은 방문객을 위한 공연, 동아리 활동 발표회 등으로 이어져 마을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주민들의 문화역량이 다채로운 문화생활로 종합돼 마을 발전을 이뤄냈다.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면서 경관도 크게 달라졌다. 마을 주민들의 노력으로 유채꽃단지와 꽃 길 등이 만들어졌다. 유채꽃프라자, 농·축산 가공시설 등의 시설사업이 마련됐다. 맞춤형 교육, 홈페이지 구축, 다목적 광장 조성 등의 지역역량 강화사업도 확대됐다. 지역주민 330여명이 회원으로 가입된 가시리문화학교도 가시리문화공동체 발전에 큰 힘이 됐다. 가시리마을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유채꽃축제를 비롯해 조랑말체험축제, 세계트레일런대회 등 각종 문화축제를 만들 계획이다.
경남 합천군은 2011년부터 대대적으로 제2의 새마을운동에 버금가는 사업을 펼쳐왔다. ‘행복 합천, 그린 희망마을 만들기’라는 사업으로 ‘마을이 변화하면 합천이 행복해집니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합천군은 오는 2015년까지 5년 간 41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합천의 마을 개선 사업이 주목 받는 이유는 상향식 사업방식에 있다. 민선 5기 하창환(65) 군수는 그동안 흔하게 추진하던 하향식 행정 주도 지역개발 사업을 지양하고 주민 스스로가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상향식 주민자체운동을 내세웠다.
이런 역발상이 주민들의 관심을 끌었고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었던 배경이 됐다. 합천의 ‘그린 희망마을 만들기’는 주민공동체 복원 사업이다. 주민 스스로가 자신의 마을을 살기 좋게 만들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고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경제·경관·교육 등 분야에서 주민들이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합천군이 지역 여건이나 역량에 맞게 단계별로 지원하는 주민자치운동이다.
주민 참여 높이기가 관건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등 패션 플랫폼 ‘비상경영’ 돌입...무신사 갑자기 왜
2美 CSIS "조선 재건 위해 韓 한화오션·HD현대重 맞손 제시"
3“과태료 내고 말지”…15회 이상 무인단속 상습 위반자, 16만명 넘었다
4지은 지 30년 넘었으면 재건축 더 쉬워진다
5"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6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7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8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9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