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생의 갑을관계는 일장춘몽인가
공생의 갑을관계는 일장춘몽인가
연말 연초 유난히 사건 사고가 많다. 어이없는 화재에, 인질극까지. 새해란 느낌을 받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일까? 가뜩이나 나라 경제도 어려운데 사회 분위기도 어둡다. 개인적으로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인 사건이 있었다. 지난해 서울 압구정동 한 아파트 경비원이 입주민의 폭언을 견디다 못해 분신을 시도했다가 결국 숨진 사건이다. 또 갑을 문제가 회자됐다. 남양유업 사태부터, 대한항공 회항 사건까지 반복 또 반복이다. 대체 한국 사회는 왜 이런가? 강준만 교수는 자신의 책 <갑과 을의 나라> 에서 이렇게 표현했다.
‘한국인 다수에게 갑을관계는 이익 차원의 개념일 뿐만 아니라 ‘을 위에 군림하는 맛’이라고 하는 인정욕구를 충족하는 삶의 기본 문법이다. 한국인이 갑을관계에 중독된 까닭은 무엇일까? 그 출발점은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관존민비(官尊民卑)다. 오늘날의 갑을관계에서도 여전히 관은 민을,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지배하는 갑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관존민비의 역사는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나라가 패망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얼마 전 한 아파트 경비원과 나눈 대화가 떠올랐다. “일이 많아 힘든 게 아니에요. 그 일을 힘들게 만드는 사람이 많을 뿐이지.” 경비원은 사회의 먹이사슬로 따져볼 때 을 중의 을이다. 아파트 주민에게도 을, 자신을 고용한 용역 업체에게도 을이어서다. 그럼에도 근로 환경은 열악하다. 보수 역시 많지 않다. 대부분이 모자란 노후 자금에 보탬이 될까 하고 은퇴 후 다시 생업에 뛰어든 이들이다. 몸은 하난데 주민들이 원하는 건 많다. 마치 집사처럼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길 원한다. 쓰레기 분리수거 부터, 층간 소음이나 주차 관련 소소한 분쟁까지 경비원의 몫이다. 누구의 편도 못 드는 게 그들의 입장인데 우리는 은연 중에 그들에게 결정을 강요한다. 주민 간의 수많은 갈등 사이에서 경비원은 늘 애꿎은 희생양이다.
한 경비원의 극단적인 선택에 동의하는 건 아니다. 다만, 우리 스스로 이런 사태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의지가 있는지 곱씹어보자. 요즘 한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풍자하듯 우리는 누군가에게 때로는 갑이고, 때로는 을이다. 하지만 갑일 땐 을의 마음을 쉬 잊는다. 을이었을 때 받았던 고통과 불만을 떠올리지 못한다. 수시로 갑을을 오가면서 갑으로 군림하는 맛에 취해있다. 그리고 을이 아닐 때 안도감을 느낀다.
갑을 문제의 해결은 어쨌든 갑에게 달려 있다. 을이 바꿀 수 있는 것은 제한적이지만 갑이 생각을 바꾸면 문제의 근본에 접근할 수 있다. 직업엔 갑을이 있을지 몰라도 인간에겐 갑을이 없다. 돈과 이해관계 이전에 사람과 사람이 하는 일이다. 아무리 좋은 관계도 배려가 없으면 사상누각이다. 너와 나의 입장을 공유하고, 각자의 일을 존중하는 것. 그 안에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 해결의 출발점이다. 이런 사람이 많아지면 사회 전체에 온기가 돈다. 그게 곧 건강한 사회다.
뻔한 말을 왜 다시 하냐고 할 수 있다. 말은 쉬우나 행동은 늘 어렵다.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경비원 아저씨께 설 선물세트 하나라도 전해보자. 남아도는 식용유 말고 기왕이면 비싸고, 좋은 걸로 고르자. 그리고 딱 한 마디면 충분하다. ‘고생 많으시죠? 늘 감사합니다.’ 이 한 문장이 많은 걸 바꿀 수 있으리라 믿는다.갑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인 다수에게 갑을관계는 이익 차원의 개념일 뿐만 아니라 ‘을 위에 군림하는 맛’이라고 하는 인정욕구를 충족하는 삶의 기본 문법이다. 한국인이 갑을관계에 중독된 까닭은 무엇일까? 그 출발점은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관존민비(官尊民卑)다. 오늘날의 갑을관계에서도 여전히 관은 민을,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지배하는 갑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관존민비의 역사는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나라가 패망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얼마 전 한 아파트 경비원과 나눈 대화가 떠올랐다. “일이 많아 힘든 게 아니에요. 그 일을 힘들게 만드는 사람이 많을 뿐이지.” 경비원은 사회의 먹이사슬로 따져볼 때 을 중의 을이다. 아파트 주민에게도 을, 자신을 고용한 용역 업체에게도 을이어서다. 그럼에도 근로 환경은 열악하다. 보수 역시 많지 않다. 대부분이 모자란 노후 자금에 보탬이 될까 하고 은퇴 후 다시 생업에 뛰어든 이들이다. 몸은 하난데 주민들이 원하는 건 많다. 마치 집사처럼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길 원한다. 쓰레기 분리수거 부터, 층간 소음이나 주차 관련 소소한 분쟁까지 경비원의 몫이다. 누구의 편도 못 드는 게 그들의 입장인데 우리는 은연 중에 그들에게 결정을 강요한다. 주민 간의 수많은 갈등 사이에서 경비원은 늘 애꿎은 희생양이다.
한 경비원의 극단적인 선택에 동의하는 건 아니다. 다만, 우리 스스로 이런 사태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의지가 있는지 곱씹어보자. 요즘 한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풍자하듯 우리는 누군가에게 때로는 갑이고, 때로는 을이다. 하지만 갑일 땐 을의 마음을 쉬 잊는다. 을이었을 때 받았던 고통과 불만을 떠올리지 못한다. 수시로 갑을을 오가면서 갑으로 군림하는 맛에 취해있다. 그리고 을이 아닐 때 안도감을 느낀다.
갑을 문제의 해결은 어쨌든 갑에게 달려 있다. 을이 바꿀 수 있는 것은 제한적이지만 갑이 생각을 바꾸면 문제의 근본에 접근할 수 있다. 직업엔 갑을이 있을지 몰라도 인간에겐 갑을이 없다. 돈과 이해관계 이전에 사람과 사람이 하는 일이다. 아무리 좋은 관계도 배려가 없으면 사상누각이다. 너와 나의 입장을 공유하고, 각자의 일을 존중하는 것. 그 안에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 해결의 출발점이다. 이런 사람이 많아지면 사회 전체에 온기가 돈다. 그게 곧 건강한 사회다.
뻔한 말을 왜 다시 하냐고 할 수 있다. 말은 쉬우나 행동은 늘 어렵다.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경비원 아저씨께 설 선물세트 하나라도 전해보자. 남아도는 식용유 말고 기왕이면 비싸고, 좋은 걸로 고르자. 그리고 딱 한 마디면 충분하다. ‘고생 많으시죠? 늘 감사합니다.’ 이 한 문장이 많은 걸 바꿀 수 있으리라 믿는다.갑과>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합성니코틴 유해성 높아 규제 필요"…개정안 연내 통과 될까
2“협력사 동반성장 기여”…신세계인터내셔날, 중기부 장관상 수상
3프로먹방러 히밥과 맞손…세븐일레븐 ‘럭히밥김찌라면’ 출시
4美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자금세탁 방지 의무 소홀 정황
5"아이브, 탄탄하고 뛰어나지만"…뜨려면 '이것' 필요하다
6만두 이어 K-푸드로…CJ제일제당, ‘소바바치킨’ 미·일·유럽 시장 공략
7박지현, 욕망에 취한 '전라 노출'…무려 연인 눈앞에서?
8양세형, 박나래랑 단둘이 마카오…"촬영 본분 잊어"
9 지하철 1∼8호선 오전 러시아워 운행 9시30분까지 30분 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