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희비 엇갈린 조선 빅3 - 대우조선 웃음, 삼성重 눈물, 현대重 피눈물
위기 속 희비 엇갈린 조선 빅3 - 대우조선 웃음, 삼성重 눈물, 현대重 피눈물

대우조선만 흑자 행진

고재호 사장의 대우조선해양은 극심한 업황 침체 속에 지난해 ‘나홀로’ 선방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3분기 매출이 4조222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4%, 영업이익은 1350억원으로 16.6% 각각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만 103억원으로 89.0% 감소했다. 3분기 연속 흑자로 지난해 조선 빅3 중 유일하게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한창 잘나가던 때와 비교해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우려보다 양호했다. 회사 관계자는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컨테이너선 부문에서의 사업 호조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전년 대비 환율 변동이 심해져 당기순이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3월 6일 현재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증권가 예상치는 양호한 수준이다. 매출 4조2248억원, 영업이익 1328억원, 당기 순이익 871억원으로 흑자 행진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경쟁사들이 ‘어닝 쇼크’로 우울한 연말을 보냈던 것과 대비된다. 세계 1위 현대중공업은 지난 한 해 매출이 52조 5824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고 영업손실 3조2495억원, 당기순손실 2조2061억원이라는 창사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세계 2위 자리를 지켰던 삼성중공업도 같은 기간 매출(12조8791억원)과 영업이익(1830억원)이 전년보다 각각 80.0%, 76.7% 감소했다. 두 회사는 지난해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대규모 공사손실충당금이 발생해 어려움을 겪었다. 일반 상선의 건조 물량이 줄어든 것도 매출 감소에 악영향을 줬다.
대우조선해양의 선전에는 고 사장의 리더십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크고 작은 수주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는데 있어 ‘영업통’ CEO로서 제 역할을 해냈다는 평가다. 1980년 대우조선해양 전신인 대우조선공업에 평사원으로 입사한 고 사장은 선박사업부문장·사업총괄장 등을 역임하면서 해외 영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영업을 누구보다 잘 아는 고 사장의 노하우는 잇단 수주라는 결과물로 이어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37척의 LNG선을 수주하는 등 총 149억 달러어치를 수주해 조선 빅3 중 유일하게 연초 수주 목표를 달성했다. 업계 유일의 5년 연속 100억 달러 이상 수주 기록이기도 하다. 올해 들어서도 LNG선 6척,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 등 14억 달러어치의 선박을 수주하는 등 출발이 좋다. 이 같은 수주 행진으로 향후 실적 개선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영업통 고재호 사장 수완 발휘
고 사장의 ‘선택과 집중’ 전략도 효과적이었다는 분석이다. 고 사장은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선박보다 수요가 안정적인 해양 플랜트의 수주 비중을 확대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이후 유가 폭락으로 급변한 세계 시장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계획을 수정했다. LNG선 등 가스선 위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것이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에만 37척의 LNG선을 수주했는데 조선 업체 한 곳이 한 해에 LNG선을 30척 넘게 수주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지난해 세계 LNG선 발주 물량이 66척이었으니 과반수를 수주한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기간 현대중공업은 6척, 삼성중공업은 5척의 LNG선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유가 폭락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크게 줄어들면서 경쟁사들이 타격을 입는 동안, LNG선으로 눈을 돌렸던 대우조선해양은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입을 수 있었다는 얘기다. 통상 해양플랜트 부문에서는 유가 하락 시 채산성이 떨어지면서 발주량이 급감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업계는 해양플랜트 사업의 손익분기점이 되는 유가를 배럴당 80달러 정도로 보고 있다. 작년처럼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훨씬 밑도는 경우 막대한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해양플랜트를 버리고 가스선 등을 택했던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해양플랜트를 1기만 수주하고도 경쟁사보다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3월 29일이면 임기가 끝나는 고 사장은 3월 현재 연임이 유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영업이익 80% 급감

삼성중공업이 해양플랜트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저가 수주에만 집착하다 수익성 악화를 초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장인 박 사장이 급변한 시장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채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빅3 중 해양플랜트 사업 비중이 가장 큰 삼성중공업으로서는 유가 폭락의 직격탄에도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해양플랜트 4기를 수주, 연초 목표로 했던 연간 수주액인 89억 달러에 훨씬 못 미치는 32억 달러어치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공정 지연 등으로 5000억원 이상의 공사손실충당금을 쌓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전망도 썩 밝지 않다. 삼성증권은 보고서에서 ‘삼성중공업은 작년 하반기 호조세였던 드릴십 매출 비중이 줄어드는 등 올해 수익성 회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현대重은 노사 문제 진통까지 겪어

세 CEO 중 가장 늦은 지난해 9월 취임한 권오갑 사장은 아직 현대중공업에서 실적을 성적표로 받아들지 않아 평가가 유보적일 수밖에 없다. 다만, 세 CEO 중 가장 나쁜 상황에서 바통을 넘겨받았다는 점에서 회사 살리기에 누구보다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노사 문제가 새로운 과제이자 변수로 떠올랐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에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하면서 고강도 구조조정에 나섰다. 작년 10월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계열 3사 임원 260여명의 사직서를 받았다. 올해 들어서는 최근 과장급 이상 일반직 직원 1500여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성과에 따라 연봉제를 도입하는 등의 구조조정을 추가로 단행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현대중공업 노사는 임단협(임금 및 단체협약)에 있어 지난해 이 문제를 매듭지은 대우조선해양이나 올 1월 말 극적으로 합의점을 찾아낸 삼성중공업과 달리 가장 최근까지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갔다. 앞서 지난해 말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해냈지만 올 초 실시한 노조원 찬반 투표 결과 압도적인 표 차이로 부결되면서 원점으로 돌아갔고, 2월 16일에야 임단협이 최종 타결됐다. 회사의 구조조정 계획에 노조원들이 반발하면서 권 사장은 시작부터 험난한 길을 걸어야 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은 오랜 기간 노사 화합으로 세계 1위 자리를 지킨 기업”이라며 “홍보맨 출신으로는 이례적으로 CEO 자리에 오른 권 사장이 특유의 친화력을 앞세워 노사 화합을 이끌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권 사장은 2010년부터 4년간 현대오일뱅크 대표이사로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던 경험이 있다. 그런 그에게 있어 노사 문제가 현대중공업에서의 앞날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어닝 쇼크(Earning Shock) : 기업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저조한 실적을 발표하는 것. 또는 저조한 실적을 발표해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2해태아이스, 신제품 4종 출시로 제로 라인업 확대
3한양증권 매각 안갯 속...KCGI,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4대한항공, ‘에어테이저’ 전문 교관 양성 교육 실시
5볼보 EX90, ‘2025 월드 카 어워즈’에서 ‘월드 럭셔리 카(World Luxury Car)’ 수상
6'120억 손배소' 김수현, 소송비 미납 의혹…입장 밝혔다
7신한투자-솔라나재단, 디지털자산 생태계 확장 위한 전략적 MOU
8CJ바이오사이언스, 연구자 맞춤형 생명정보학 컨설팅 서비스 출시
9현대차그룹, ‘세계 올해의 차’ 4년 연속 석권…EV3·캐스퍼 일렉트릭 2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