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태의 ‘실록으로 읽는 사서’] 조선 왕이 말하는 ‘대장부論’
[김준태의 ‘실록으로 읽는 사서’] 조선 왕이 말하는 ‘대장부論’

왕은 방탕해지기 쉬운 자리
이 세 사람의 대화는 맹자가 말한 ‘대장부’론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 단어지만 흔히 포부가 넓고 기개가 있으며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을 일러 대장부라고 부른다. 실록에서도 ‘대장부’란 단어는 대부분 이런 의미로 사용되곤 했는데, 세조는 “대장부란 세상에 뜻을 두며 항상 공을 이룰 만한 기회가 없음을 아쉬워하는 자”라 했고(세조실록총서1권), 한명회는 “당대에 재능을 인정받아 폐단을 바로잡고 새로운 법을 세우는 사람이 대장부”라고 규정했다(세조14.6.14). 선조는 “대장부란 큰 공을 세워 위로는 나라에 보답하고 아래로는 후세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선조30.1.24).‘남자 나이 스물에 나라를 평안케 하지 못하면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불러줄 것인가?’라는 남이의 글귀도 유명하다. 대장부는 명예를 얻고 성공을 거둔 사람이란 뉘앙스가 강한 것이다.
하지만 맹자의 생각은 다르다. 당시 열국을 종횡하며 국제질서를 좌지우지하던 공손연과 장의야말로 대장부가 아니겠느냐는 경춘(景春)의 질문에 맹자는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한 모리배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천하의 드넓은 곳에 살며, 천하의 바른 자리에 서고, 천하의 큰 도를 행한다. 뜻을 이루면 이를 뭇 사람들과 더불어 함께하고 뜻을 얻지 못해도 홀로 그 길을 걸어가니, 부유함과 귀함도 그의 마음을 변질시키지 못하고, 가난과 천함도 그의 지조를 꺾지 못하며, 위세와 무력으로도 그를 굴복시킬 수 없다. 이러한 사람을 대장부라 부르는 것이다.”
맹자의 말대로라면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세상을 뒤흔든다고 해서 곧 대장부라 할 순 없다. 큰 성공을 거뒀다고 해서 다 대장부는 아닌 것이다. 대장부란 마음속에 큰 뜻을 품고 그걸 이루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노력하는 사람이며, 외부환경 때문에 뜻을 바꾸지 않고, 뜻을 이뤘다고 해서 나태하지 않는 사람이다. 그에게는 이뤄낸 성과의 크기보다 품었던 꿈의 크기가 더 중요하고 부귀나 명예가 아니라 이상(理想)이 소중하다. 맹자는 이런 사람이야말로 비로소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들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세상을 위해서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중종 때 임금이 유생들에게 내린 교지를 봐도 이러한 생각이 잘 드러난다. ‘선비의 마음은 부귀로써도 변질시킬 수 없고 선비의 지조는 빈천으로써도 꺾지 못하는 것이니, 곤궁하여 낮은 지위에 있다면 자신의 몸을 수양하여 선하게 만들고, 현달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면 천하 사람들을 모두 선하게 만드는 것이다. 뜻을 지키는 바가 이처럼 굳건하니 어찌 다른 것들이 여기에 영향을 줄 수 있겠는가. 그런데 지금 유자들은 달라서 성리의 학문을 궁구하지 않고 겉멋든 문장에만 빠져있다. 조촐한 의복을 좋아하기는커녕 옷과 장식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기에 여념이 없고, 몸의 병통을 살피지 않으며 몸의 아름답지 못함을 부끄러워할 줄 모른다. 무릇 어려서 배우는 것은 자라서 실천하고자 함이다. 부디 검소함을 숭상하며, 뜻을 돈독히 가지고 학문에 힘써 세상의 풍속을 맑게 하라.”(중종4.3.12).
사람이 자신만의 뜻, 즉 삶의 목표나 신념을 세우는 것 자체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멋들어진 말 중 하나를 가져다 좌우명으로 삼고, 숭고해 보이는 이상을 내 삶의 목표라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의 자유다. 이렇게 한다고 해서 어떤 비용이 드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문제는 목표란 이루기 위해서 정하는 것이고, 신념은 지키기 위해 간직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실천이 담보되지 않은 뜻은 그 내용이 아무리 좋더라도 무의미한 것이다.
맹자 “끝까지 뜻을 지키는 자가 대장부”
그렇다면 이러한 대장부의 정신은 오늘날 어떤 의미가 있을까. 가시적인 성취보다는 정신적인 완성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효율과 공리를 중시하는 현대사회와 안 어울릴지도 모른다. 그의 우직하고 고집스러움은 그를 세상물정 모르는 바보로 치부하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사사로운 이익을 탐하지 않는 공적인 정신,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행동하는 기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헌신하는 자세야 말로 지금 우리 사회가 꼭 필요로 하는 리더상일 것이다.
김준태 - 칼럼니스트이자 정치철학자. 성균관대와 동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와 동양철학문화연구소를 거치며 한국의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사상을 연구한 논문을 다수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군주의 조건] 등이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2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3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
4샤이니 태민·노제 열애설 불붙어…'두 사람, 껴안거나 팔짱'
5돌아온 바이든 "트럼프, 도끼 내리쳤다"...날 선 비판 왜?
6토지거래허가 해제 효과…서울 아파트값·거래량 '쑥'
7미래에셋증권, 사내 AI 활용 확산 위해 ‘AIOps 플랫폼’ 구축
8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사실상 금지…AI 관세 전쟁 본격화
9SAMG엔터, 틱톡코리아 출신 글로벌 콘텐츠 사업 전문가 배정현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