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우위의 시대 어리석은 남성들에게
여성 우위의 시대 어리석은 남성들에게

1만년 전부터 이어진 농경시대에 경쟁력은 어디서 나왔을까? 농사를 짓는 데 큰 힘이 들어가지 않으니 근면하고, 인내심 많고, 많은 경험에서 얻은 지혜로움이 아니었을까? 경륜 높은 노인들이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작물의 보관이 가능해지면서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질서가 생겼다. 우두머리를 몰아내기도 어렵게 되면서 노인들이 오랫동안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연공서열이 생기고, 경노사상이 널리 퍼진 것은 당연하다. 환경이 크게 변하지 않는 그 당시 유일한 학습은 옛날 선인들이 어떤 상항에서 어떤 판단을 내렸는가를 읽고, 비슷한 상황에서 과거의 현인들처럼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걸 배우는 것이었다. 산업사회에서 기술과 자본력이 경쟁력이라면 역시 경험이 풍부하거나, 자본을 축적한 나이 많은 사람이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었지만 청년이 있어 노인은 무대에서 내려왔다.
오늘날 엄청나게 빠른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환경은 빛의 속도로 변하는 변수가 되어 사회가 바뀌고, 그에 따른 사회통념이나 가치도 계속 바뀌니 과거경험이 결정적인 도움이 되기 힘들다. 지금과 다른 과거 환경, 과거 사회통념, 과거 가치기준을 근거로 내린 판단이 계속 통할 리 없다. 나이 많고, 경험이 많은 사람이 상관이라고 과거 이야기만 계속한다면 젊은 사람들에게 존경은커녕 웃음거리가 되는 것은 당연하고, 연공서열이 무너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대세다.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진다. 그것이 바로 경쟁의 속성이다. 대학 입시도, 회사 입사도 과거에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어려워졌다. 따라서 공부도 훨씬 치열해졌다. 젊은 날의 필자가 우리 회사를 지원했으면 합격하지 못했을 것이 틀림없다. 남녀관계도 마찬가지다. 힘과 노동이 생산의 원천이었을 때는 남성의 경쟁력이 여성을 압도했지만, 사고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여학생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인생에 대한 태도 또한 더 진지하다면 여성 우위는 정해진 수순이다.
관념과 제도의 변화는 가장 늦게 따라오게 마련이어서 아직 대부분의 조직에서 연공서열, 남성 중심 제도 아래 경쟁력을 잃었을 수 있는 오래 근무한 남자가 거의 자동적으로 책임자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머지않아 제도가 현상을 따라 갈 수밖에 없다. 아니 이미 세상이 바뀌었다. 여성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통치하고, 여성 총리가 독일을 다스린다. 미국에도 조만간 이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나라는 그렇다 치고, 가정에서도 안사람 눈치만 보면서, 아직도 남성 우월을 턱없이 믿고 있는 어리석은 남성이 적지 않아 안타깝다.
- 김해동 비브라운코리아 사장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등 패션 플랫폼 ‘비상경영’ 돌입...무신사 갑자기 왜
2美 CSIS "조선 재건 위해 韓 한화오션·HD현대重 맞손 제시"
3“과태료 내고 말지”…15회 이상 무인단속 상습 위반자, 16만명 넘었다
4지은 지 30년 넘었으면 재건축 더 쉬워진다
5"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6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7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8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9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