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폴크스바겐 빈자리 누가 차지할까] 포드·도요타·재규어랜드로버 3파전
[아우디폴크스바겐 빈자리 누가 차지할까] 포드·도요타·재규어랜드로버 3파전

아우디폴크스바겐의 80개 모델 판매 중지

시장에선 포드코리아와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한국도요타가 벌이는 3파전이 시작됐다. 여기에 볼보코리아가 폴크스바겐의 수요를 빠르게 끌어들이며 이들을 바짝 뒤쫓고 있다. 볼보는 7월에만 지난해 동기 대비 44.3% 증가한 453대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상반기 수입차 판매 9위에 오르며 국내 진출 후 처음으로 폴크스바겐보다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수입차협회가 2003년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폴크스바겐이 10위까지 밀려난 적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이브리드를 앞세워 친환경 이미지를 만들어온 도요타도 순항 중이다. 올해 들어 새로운 하이브리드 모델을 연달아 출시하며 기세를 올렸다. 대대적인 하이브리드 프로모션도 진행했다. 정부는 하반기에 노후 경유차를 교체할 경우 세제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도요타는 이와 별도로 5년 이상 된 노후차 고객이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사면 30만원을 지원한다. 또 기존 도요타 고객이 현금으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재구매하면 100만원을 지원한다. 공격적인 마케팅 덕에 도요타는 상반기에 지난해 동기 대비 13% 늘어난 4282대를 판매했다. 특히 지난 6월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지난해 711대에서 올해엔 1165대를 판매하며 64% 성장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전체 판매량에서 하이브리드 점유율이 54%를 기록하며 지난해 상반기 실적 33%를 넘어섰다. 하이브리드 차종이 처음으로 도요타 전체 판매대수의 과반수를 넘어갔다.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의 상승세도 만만치 않다. 랜드로버는 지난해 동월보다 31.1% 늘어난 847대를, 재규어는 95.9% 증가한 331대를 판매하면서 각각 5위와 15위를 기록했다. 업계에선 재규어의 성장을 눈여겨보고 있다. 재규어는 판매가 중단된 아우디의 A6와A4 경쟁모델인 XF와 XE를 판매 중이다. 차량 가격 6320만~9760만원인 A6는 아우디 전체 판매량의 30%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큰 모델이다. 재규어 XF의 판매는 전년 대비 50% 늘어난 상태다. 재규어 관계자는 “재규어만의 색채로도 독일차의 견고한 벽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고 말했다.
포드도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8위에 머물렀던 포드코리아는 7월 폴크스바겐의 자리였던 4위를 단번에 차지했다. 포드코리아는 상위권 도약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 판매량 1000대의 벽을 넘으면서 지난해 동월보다 11.0% 늘어난 1008대를 기록했다. 브랜드 내 최대 판매 차종인 익스플로러는 디젤게이트에 따른 가솔린 차량 수요 증가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인기를 등에 업고 전체 판매 5위에 이름을 올렸다.
폴크스바겐 주요 모델의 가격대는 2000만~4000만원 사이였다. 친환경 디젤을 앞세운 폴크스바겐의 성장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보던 한국 완성차 업체에겐 이번 디젤 게이트가 재도약의 기회로 다가오고 있다. 차량 가격별 경쟁모델로는 중형 세단 A6는 제네시스 G80, 소형 SUV 티구안은 현대차의 투싼·싼타페, 르노삼성의 QM6이 꼽힌다. 골프는 현대차의 i30, 파사트의 경쟁차로는 현대차의 쏘나타와 르노삼성의 SM6, 한국지엠의 올 뉴 말리부 등이 꼽힌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선 폴크스바겐 수요가 가격대가 비슷한 국산차로 넘어올 가능성을 크게 보고 치열한 마케팅을 펼치기 시작했다.
2000만~4000만원 대 모델군 경쟁 치열
한국GM은 친환경 전기차를 강조하며 시장을 공략 중이다. 올 하반기에 첨단 기술력을 갖춘 친환경차를 출시해 판매 상승세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말리부 하이브리드와 주행거리 연장 전기차인 볼트를 출시한다. 볼트는 676㎞의 주행거리를 자랑한다. 말리부 하이브리드는 전용 1.8L 직분사 가솔린 엔진과 두 개의 모터를 통해 182마력의 시스템 최대 출력을 발휘한다. 프리미엄 차량인 임팔라 마케팅도 더욱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도 하반기 신차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르노삼성이 9월 출시를 준비하는 중형 SUV QM6은 티구안의 경쟁 모델이다. 올해 상반기 출시한 중형 세단 SM6은 파사트의 빈자리를 노리고 있다. SM6는 3월 출시 이후 지난 7월까지 4개월 간 3만1719대를 판매하며 흥행몰이 중이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좋은 흐름을 살려 올해 10만대 판매 목표를 달성해 완성차 업계 3위 입지를 굳히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2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3“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4‘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5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6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7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8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9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