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큐어백 코로나19 백신 예방 효과 미달…4번째 CMO 계약 불투명?

큐어백 백신 효과 50%에도 못 미쳐…최종결과 아직 남은 상황
정부가 추진 중인 국내 위탁 생산 협력 불투명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 한 호텔에서 프란츠 베르나 하스 큐어백 최고경영자(CEO)와 화상면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독일 제약사 큐어백의 코로나 백신 효과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AZ), 노바백스, 모더나에 이어 큐어백까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CMO)의 거점 역할을 하려고 했던 게 불투명해진 것이다. 
 
큐어백은 지난 16일(현지 시각) 자사 홈페이지를 통한 성명에서 유럽·라틴아메리카 등 10개국 4만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중간 결과, 자사 백신인 CvnCoV의 예방 효과가 47%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자체 목표치에 미달했고, 미 식품의약국(FDA) 등 각국 의료 당국의 승인을 받기 어려운 수준이다.      

 
예방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는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이 지목됐다. 이같은 결과로 투자자 신뢰가 약화하면서 큐어백 주가가 급락, 기업가치가 수십억 달러가량 감소하기도 했다.
 
큐어백이 최종 결과에서도 백신 예방률 50%를 넘지 못하면 미 식품의약국(FDA)·세계보건기구(WHO) 등의 긴급 승인을 받기 어렵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기 전 미국 FDA는 50% 이상 예방효과를 기대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최소 70%는 돼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한국 정부는 자체 생산 시설이 부족해 위탁 생산지를 찾고 있는 큐어백 백신의 국내 위탁 생산을 추진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하스 큐어백 대표와 코로나 백신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생산 거점으로 한국을 우선 고려해달라“며 ”한국 정부는 글로벌 백신 허브 추진 TF를 통한 원부자재, 생산시설 확충 지원 등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하스 큐어백 대표는 "한국은 최고 수준의 제약회사들이 많기 때문에 협력의 여지가 많다"면서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 정책에 대해서도 지지를 표명한 바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에도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서 백신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국내 바이오 업계도 큐어백 백신의 국내 위탁생산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큐어백은 모더나처럼 기업 규모가 크지 않은 바이오벤처로 글로벌 공급을 위한 CMO 시설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큐어백과 mRNA 백신 CMO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있는 국내 기업으로 에스티팜,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진원생명과학, GC녹십자, 엔지켐생명과학 등이 거론됐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국내 업체들은 아직 실망보다는 일단 중간결과나 최종 분석 결과를 기다려보자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

6신한은행, 전역장교 30여명 신규 채용한다

7어니스트AI, 금융규제 샌드박스 통한 '대출 플랫폼' 4월 출시

8금융 AI 핀테크 혜움, 10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9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

실시간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