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윳값, 7주째 고공행진…서울에선 ‘여기’가 가장 싸다
3월 1주 휘발윳값 평균 L당 1764원, 서울·제주는 1800원대
5일 기준 중구·용산구·종로구 휘발유 가격 높아, 평균 2000원↑
국내 휘발유 가격이 이번 주(3월 1주)까지 7주 연속으로 올랐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는 4월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20% 인하 조치를 연장하기로 했지만,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국내 휘발유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휘발유 가격은 서울에서도 주유소에 따라 최대 1000원 가까이 차이가 났다.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3월 첫째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24.2원 오른 리터(L)당 1764.0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최고가 지역인 제주의 이번 주 평균 휘발유 가격은 L당 1831원, 최저가 지역인 부산은 L당 1736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L당 1827원으로, 제주 다음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비쌌다.
국제유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아 국내 휘발윳값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10.4달러 오른 배럴당 105.6달러를 기록했다. 두바이유가 100달러를 넘은 것은 2014년 9월 이후 약 7년 반 만이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서방 제재 대상에 러시아산 에너지가 포함될 경우, 공급이 부족해져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따른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보통 2~3주가량의 시차를 두고 선행지표인 국제유가 추이를 따른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진 만큼 국내 휘발유 가격도 당분간 계속 오를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서울서 휘발유 가격 가장 낮은 주유소 어디?
서울 시내에서도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오피넷 집계에 따르면 이달 5일 기준 서울 내에서 보통휘발유 평균판매가격이 높은 상위 3개 구는 중구·용산구·종로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구의 L당 휘발유 가격은 각각 2150.70원, 2139.77, 2087.88원이었다. 강남 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L당 1902.76원으로, 서울 전체 평균(5일 기준) 1871.08과 비교하면 31.68원 높았다.
서울 내 휘발유 가격이 가장 낮은 곳 양천구(1797.52원)로 나타났다. 강북구(1810.15원), 금천구(1812.64원)가 그 뒤를 이었다.
개별 주유소의 L당 휘발유 가격을 살펴보면, 6일 오전 11시 기준 양천구 타이거오일 신정주유소의 보통휘발유 가격이 1729원으로 서울 시내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강서구 알뜰 뉴신정주유소(1738원)와 알뜰 화곡역주유소(1738원)의 휘발유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격이 높은 순으로 따져봤을 때, 같은 시각 L당 휘발유 가격이 2600원을 넘는 곳도 두 곳 있었다. 중구 서남주유소와 용산구 서계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L당 각각 2681원, 2680원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오피넷의 휘발유 가격은 특정 시점에 조사를 진행함에 따라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고 일시별로 달라질 수 있다.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약발 끝” 인하 폭 확대 요구도
이처럼 치솟는 휘발윳값에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3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고유가로 인한 물가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4월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20%) 및 액화천연가스(LNG) 할당관세 0% 조치를 7월 말까지 3개월 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심화될 경우 유류세 인하 폭을 더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선 국제유가 탓에 유류세 인하 조치 ‘약발’이 다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 부총리는 회의에서 “향후 국제유가가 현 수준보다 가파르게 상승해 경제 불확실성이 더 확대될 경우 유류세 인하 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법적으로 시행령 개정을 통해 적용이 가능한 유류세 인하율 최대치는 30%다. 다만 유류세 인하율 확대가 실제 이뤄지려면, 유가 상황, 세수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