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생존’ 대우조선, 신구 권력 충돌 격랑 속으로
박두선 대표이사 선임 두고 인수위‧청와대 신경전
“비상식‧몰염치 처사” vs “정부 눈독 들일 자리 아냐”

신구 권력 충돌 중심에 선 대우조선
그는 또한 “국민 세금 4조1000억원이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은 KDB산업은행이 지분 절반을 넘게 보유한 사실상의 공기업”이라며 “회생 방안을 마련하고 독자 생존하려면 구조조정 등 고통스러운 정상화가 잇따라야 하고 새로 출범하는 정부와 조율할 새 경영진이 필요한 게 상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권 이양기에 막대한 혈세가 들어간 부실 공기업에서 비상식적 인사가 강행된 것은 합법을 가장한 사익 추구란 의혹을 피하기 어렵다”며 “특히 대통령 동생의 동창으로 지목된 인사를 임명한 것은 상식과 관행을 벗어난 것을 넘어 관리·감독 기관인 금융위원회 지침을 무시한 직권 남용의 소지가 다분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인수위를 겨냥해 대우조선 사장 자리는 정부가 눈독을 들일 자리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신혜현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브리핑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의 사장 자리에 인수위가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대우조선해양의 사장으로는 살아나는 조선 경기 속에서 회사를 빠르게 회생시킬 내부 출신의 경영 전문가가 필요할 뿐, 현 정부든 다음 정부든 정부가 눈독을 들일 자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알박기 인사” vs “회사 살릴 전문가”
박 대표가 문 정부 출범 이후 초고속으로 승진했다고 주장하는 쪽에선 지난 2018년 1월 문 대통령이 대우조선 옥포조선소를 방문했을 당시 생산운영담당(상무)으로 재직 중이던 박 대표가 직접 의전을 맡았던 일화를 거론한다. 상무급 임원이 대통령을 의전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란 논리다. 박 대표는 문 대통령을 의전하고 두 달 뒤에 전무로 승진해 특수선사업본부장을 맡았다. 이후 2019년 4월 대우조선 조선소장에 올랐고, 조선소장을 맡은 지 5개월 만에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박 대표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특혜를 받았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란 반론도 있다. 박 대표가 대우조선에서만 30년 넘게 근무하면서, 회계와 생산 현장 등을 두루 거친 전문성을 갖춘 인사라는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대우조선 지분 55.7%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은 박 대표 선임과 관련해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신규 경영진이 대우조선의 경쟁력 제고 및 근본적 정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요 현안에 대해 신규 경영진과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라는 입장이다. 대우조선 측은 박 대표 선임 논란에 대해 “회사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답변할 부분은 없다”고 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AI로 고객 맞춤 화법 생성…한화생명, 설계사 훈련 시스템 도입
2농협은행, 국가간 송금개선 테스트 ‘프로젝트 Pax‘ 참여
3흥국화재, 생성형 AI 경진대회 개최…실무 혁신 본격 시동
4"연락 다 끊기고 방송 잘려"… '윤 어게인' 전한길, 강사 은퇴?
5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신임 협회장 취임
6 이재명 32%·김문수 12%...“국힘, 尹 정리해야” 50%
7‘와’ 애플·엔비디아 등 美 'M7' 시총 2700조원 ‘폭등’…왜?
8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자산 효율성 높인다
9관세 90일 유예...한시름 놓은 삼양식품, 향후 대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