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30세대 집 사느라 1억6000만원 빚져…갚으려면 17년 걸려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무주택 20~30대 10명 중 1명만
향후 2년 안에 주택구입 희망해
결혼비용 4년 새 3512만원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최근 1년 새 집을 산 20~30대가 평균 1억6000만원대의 빚을 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재 무주택자인 20~30대 가운데 향후 2년 내 집을 사겠다는 비율은 10명 중 1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신한은행이 발표한 ‘2022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 새 거주 주택 구매자 가운데 20~30대의 부채액은 평균 1억672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조사 결과인 1억1765만원과 비교해 4955만원 오른 수치다.
 
이 보고서는 신한은행이 지난해 9~10월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상대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작성했다.
 
가구 주택 구입 시 가격 및 대출 금액. [사진 신한은행]
조사 결과 20~30대가 최근 1년 새 주택을 구입할 당시 집값은 3억6446만원으로, 1년 전 조사보다 3352만원 더 비싸졌다. 보고서는 “20∼30대 구매 주택은 2020년보다 3352만원 올랐는데 대출액은 그보다 더 많이 올랐다”며 “대출을 활용해 더 많은 구입 자금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평균 부채상환액과 부채 상환 기간. [신한은행]
최근 1년 새 집을 산 20~30대는 매월 평균 80만원을 부채 상환에 쓰고 있었다. 이는 조사 대상(20~64세)의 전체 평균(74만원)을 웃도는 수치다. 보고서는 “현재와 동일하게 매달 80만원씩 상환한다고 가정하면 20∼30대는 향후 17년간 부채를 상환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주택을 자가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20~30대 경제활동가구 중 56.9%는 향후 거주 주택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구매 시점을 ‘향후 2년 이내’로 한정하면 이들의 구입 희망률은 10.8%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보고서는 빠른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주택 구매 의향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구입 여력이 적다 보니 10명 중 1명꼴로만 2년 내 주택구입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주택마련 부담에 결혼비용 4년 새 3512만원 늘어

결혼 시기별 결혼 비용. [사진 신한은행]
 
최근 1년 새 결혼한 20~44세 응답자들은 결혼 비용으로 총 1억6916만원이 들었다고 답했다. 이는 4년 전인 2017년 1억3404만원보다 3512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주로 주택마련 자금(3437만원 증가) 부담 증가가 원인이었다.
 
최근 3년 내 결혼한 20~30대 무자녀 가구 중 17.4%는 앞으로도 자녀를 출산할 계획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 비율은 2017년 조사(11.6%)보다 5.8%포인트 상승했다.
 
은퇴계획과 관련해 20~30대 경제활동자 중 6.4%는 30~40대에 조기 은퇴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파이어족’으로 불리는 조기은퇴계획자는 월평균 가계소득이 381만원으로 정년 이후 은퇴 계획자보다 23만원 많았으며, 소비는 4만원 더 적게 하고 저축 여력은 21만원 더 많았다. 또한 조기은퇴계획자의 총자산은 평균 3억1768만원으로, 정년 이후 은퇴 계획자보다 4073만원 더 많았다.
 
신한은행은 “파이어족은 총소득이 높으며 현재를 위한 소비보다는 공격적이고 계획적인 투자로 미래 준비에 적극적”이라고 분석했다.
 

응답자 45% “삶 대체로 만족”…혼인 상태·재산 수준에 영향

배우 현빈과 손예진이 지난달 31일 오후 결혼식을 앞두고 공개한 웨딩 화보. [사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20~60세를 상대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만족도를 묻자 응답자의 45%는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했다. ‘나쁨’이나 ‘매우 나쁨’이라고 대답한 비중은 17.7%였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배경 중 하나로 혼인 여부가 꼽혔다.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8개 문항 점수를 합산해 전체 응답자를 5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만족도 점수가 가장 낮은 하위 1%(삶의 질 최하위 그룹) 가운데 미혼 비율은 47.4%로, 전체 응답자의 미혼 비율(33.2%)을 크게 웃돌았다고 분석했다.
 
재산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도 차이가 벌어졌다. 삶의 질 최상위 그룹(만족도 점수 상위 3%)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609만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최하위 그룹(356만원)과의 차이는 253만원이었다.
 
총자산은 최상위 그룹이 7억6119만원, 최하위 그룹이 2억8598만원으로 2.7배 차이가 났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동산 PF 자기자본 현행 3%서 20%로 높인다

2'김가네' 회장, 성범죄 이어 횡령 혐의로 경찰 수사

3'이것'하면 돈 날린다...전문의도 비추하는 '건강검진' 항목은?

4나라살림 이대로 괜찮아?...연간 적자 91조 넘었다

5"노사 화합의 계기"...삼성전자 노사, 임협 잠정합의안 마련

6프라우드넷, 네이버클라우드와 솔루션 사업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 체결

7SOOP, 지스타 2024에서 ‘SOOP AI’ 신기술 공개

8"목 빠지게 기다린다"...美 유력지, 아이오닉9·EV9 GT 콕 집었다

9검찰, ‘SG사태’ 라덕연 대표에 징역 40년·벌금 2.3조 구형

실시간 뉴스

1부동산 PF 자기자본 현행 3%서 20%로 높인다

2'김가네' 회장, 성범죄 이어 횡령 혐의로 경찰 수사

3'이것'하면 돈 날린다...전문의도 비추하는 '건강검진' 항목은?

4나라살림 이대로 괜찮아?...연간 적자 91조 넘었다

5"노사 화합의 계기"...삼성전자 노사, 임협 잠정합의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