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美 급락장이 ‘저가 매수’ 기회?…서학개미, 한 달 4조원 순매수
- 3배 레버리지 투자 열풍에 증권가 “길게 보고 분할 매수해야”

15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12일까지 한 달간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순매수 결제액은 29억9927만달러(약 3조8504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6억5321만 달러)보다 81% 많은 액수다. 올해 1∼4월 월평균(24억377만 달러)보다도 많다.
미국 뉴욕증시에서 최근 한 달간 나스닥지수는 약 15%, S&P500은 10.6%,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7.3% 하락했다. 고점 대비론 S&P500지수가 18.44%, 나스닥지수가 30%가량 급락했다. 그러나 서학개미들은 이러한 증시 약세를 ‘저가 매수’ 기회로 삼고 있다. 기초지수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고위험 레버리지 투자도 서슴지 않는 분위기다.
일례로 나스닥100 지수 수익률의 3배를 추종하는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QQQ ETF(TQQQ)은 최근 한 달간 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종목 2위(6억3115만 달러 순매수)에 이름을 올렸다. 순매수 3위는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따라가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스 불 3X SHS ETF(SOXL·4억54만 달러)였다.
이외 미국 기술주 10개 종목 주가를 3배로 추종하는 ‘BMO 마이크로섹터 FANG+ 인덱스 3X 레버리지 ETN’(6694만달러)가 8위를, 미국 기술주 15개 주가를 3배로 추종하는 ‘BMO 마이크로섹터 FANG 이노베이션 3X 레버리지 ETN’가 9위를 각각 차지했다.
그러나 증권가에선 미국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단기 수익을 노리는 3배 레버리지 투자 등은 위험하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TQQQ 경우 한 달 동안 약 40% 하락했다. 올 초에 비해서는 83% 떨어졌다.
안소은 KB증권 연구원도 “투자자들이 그동안 조정기마다 ‘V’자로 반등해왔던 것을 기대하며 매수로 대응하고 있는데, 지금은 그때마다 나왔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뒷받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금 저점 매수하기보다 매크로 불확실성이 경기나 수요에 미치는 영향 등을 보고 저점을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민혜 기자 kang.minhye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눈물 닦아줘야 해요”…실종된 5살 소녀는 어디에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키아누 리브스, ♥8살 연하와 극비 결혼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전·SK하닉 넘어섰다”…한달새 70% 뛴 반도체 장비株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중복상장·복잡한 지배구조…에식스솔루션즈 연내 상장심사 '빨간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테오젠 ‘키트루다SC’ FDA 허가...할로자임 특허소송 파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