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해외 명품 쇼핑 늘고, 가전은 줄고”…4월 매출 동향 살펴보니

산업통상자원부,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지난 4월 온·오프라인 각각 11%, 10.2% 상승
백화점에선 아동·스포츠, 편의점은 간식·완구류 인기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야외로 쇼핑을 즐기로 나온 사람들이 증가했다. [중앙포토]
지난 4월 유통업체 온·오프라인 매출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판매처와 품목별로는 인기 상품이 구 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4월 주요 유통업체의 온·오프라인 매출은 13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10.6% 늘었다.
 
오프라인 매출은 7조100억원으로 10.2% 늘었고, 온라인 매출은 6조5900억원으로 11.0% 증가했다. 이때 주요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매출 비중은 51.6%, 온라인은 48.4%로 비슷했다.
 
상품군별로 보면 해외 유명 브랜드가 22.5% 증가한 것을 비롯해 패션·잡화(16.3%), 서비스·기타(16.3%), 아동·스포츠(11.9%) 등의 증가폭이 컸다. 가전·문화만 유일하게 0.2% 줄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 경우, 백화점 매출이 지난해 4월보다 19.1% 증가했고 편의점과 대형마트도 10.9%, 2.0% 각각 늘었다. 하지만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1.8% 줄었다.
 
야외활동이 늘면서 스포츠 용품 매출이 증가했다. [중앙포토]
특히 백화점은 전면 등교수업이 재개되고 재택근무가 축소되면서 아동·스포츠(33.4%), 여성캐주얼(22.2%), 남성 의류(21.2%) 수요가 늘었다. 백화점을 찾는 방문자가 늘면서 푸드코트 등 백화점 내 식품(30.3%) 매출도 많이 증가했다.
 
편의점 역시 외부 활동 증가와 정상 등교 영향으로 간식·완구류 수요가 늘며 생활용품(11.1%)을 비롯한 전 품목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대형마트는 의류(13.2%), 잡화(10.8%) 부문의 판매가 상승했으나 방문자는 줄어, 전체 매출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SSM은 가공식품(3.4%)을 제외한 농·수·축산(-4.5%), 생활잡화(-3.8%) 등 대부분 품목이 판매 부진을 보였다.  
 
온라인 유통업체는 가전·전자, 스포츠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늘었다. 계절과일·식음료 판매 호조와 야외활동 증가에 따른 화장품 및 공연 관람·여행 등의 예약 상품 수요 증가로 서비스·기타(24.0%), 화장품(18.6%), 식품(18.1%) 등의 판매가 큰 폭으로 늘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

실시간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