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서도 양극화…한강 강남‧강북 아파트값 격차 7억원 돌파

5년 전 3억2000만원 대비 2배 이상 격차 벌어져
정부 규제 완화 혜택, 1주택자 집중…양극화 심화 전망

 
 
[사진 경제만랩]
 
서울 중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한강을 기준으로 양극화하고 있다. 서울 한강 이남과 이북 중형 아파트값 격차가 7억원 넘게 벌어졌다.
 
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한강 이북 14개 자치구 중형 아파트(전용 85㎡ 초과 102㎡ 이하) 평균 매매가격은 11억9893만원, 한강 이남 11개 자치구는 18억9970만원을 기록했다. 두 아파트값 격차는 7억7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한강 이북이 5억7872만원, 이남이 9억391만원으로 격차가 3억2519만원 수준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전셋값 격차도 마찬가지로 커졌다. 올해 5월 한강 이북 평균 전셋값은 6억3386만원, 이남 전셋값 9억3233만원으로 2억9847만원 차이를 보였다. 지난 2017년 5월엔 이북(4억744만원), 이남(4억9919만원) 격차는 9175만원에 불과했다.
 
경제만랩은 한강 이북과 이남 아파트값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석열 정부의 규제 완화 혜택이 다주택자보다 1주택자에게 집중하면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다주택자들이 선호도가 떨어지는 주택을 처분하고 역세권, 한강변, 우수학군 등의 입지가 뛰어난 곳으로 몰리고 있다"며 "한강 이북과 한강 이남의 집값 편차는 더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

2 트럼프, 일본 협상단 만나..."협상에 큰 진전"

3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4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5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6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7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8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9“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실시간 뉴스

1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

2 트럼프, 일본 협상단 만나..."협상에 큰 진전"

3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4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5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