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분양시장 잠기나…주택경기 관망하는 건설사
금리인상·자재비 변수에 향후 공급 미지수
올 상반기 선거이슈가 지나며 하반기 들어 주택분양이 조금씩 풀리는 모양새다. 그러나 금리인상 기조와 건설 자재비 인상, 주택시장 침체 등의 여파로 건설사들이 시장을 관망하면서 장기적인 공급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14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올해 7~8월 사이 주택공급이 쏟아지며 상반기동안 막혔던 분양시장이 다시 활기를 띌 전망이다.
부동산 리서치 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전국 일반분양 물량이 3만5678가구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8%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달 7429가구가 시장에 나온 것에 비하면 380% 가까이 늘었다.
그럼에도 주택공급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업계에선 현재 분양물량을 3월 대통령 선거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분양을 미뤄 발생한 일시적인 ‘풍선효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인허가 많았는데 분양·착공 안 해
2017년 65만3441호였던 인허가 물량은 정부정책이 규제 일변도로 접어들며 2018년 55만4136호, 2019년 48만7975호로 계속 감소하다 2020년 45만7514호를 기록하며 저점을 찍었다. 그러다 지난해 54만5412호로 10만호 가까이 반등했다. 이는 정부가 주택공급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일부 전환한 효과로 풀이된다.
통상 인허가부터 분양 및 착공까지 6개월~1년 사이 기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올해 주택공급은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기대됐다. 올해 5월까지 누적 분양승인 실적은 9만6252호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2만430호보다 약 20% 감소했다. 착공실적 역시 매달 4~5만호를 유지하던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3월 들어서야 3만호를 넘겼다.
전국적으로 공급이 줄었들었음에도 미분양은 늘고 있다. 청약 시장이 시들해진 여파다. 지난해 말 1만7700호였던 전국 주택 미분양은 올해 1월 2만1700호에서 지난 5월 2만7400호로 증가했다. 그동안 공급이 많았던 대구, 경북 지역에 집중됐던 미분양은 최근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미분양 늘고 비용 증가, 의욕 상실한 건설업계
실제로 직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1순위 청약경쟁률은 평균 11.1 대 1로 전년 동기 18.2대 1보다 낮아졌다. 서울은 124.7 대 1에서 29.6 대 1로 4분의 1토막이 났다.
이 관계자는 “과거에도 부동산 침체로 인해 미분양이 나왔지만 요즘 건설사들은 전과 달리 미분양을 털기 위해 홍보나 할인분양 등에 적극 나서기보다 일단 조용히 지켜보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이런 현상은 대내외적 리스크에 직면한 건설사들이 주택시장을 관망하며 보수적으로 행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검증된 수익원’으로 통했던 도시정비시장에서도 건설사 간 수주전 또한 한풀 꺾인 모양새다. 조합원 대상 홍보비용, 입찰보증금을 비롯한 비용부담 문제로 유찰 및 수의계약이 성행하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처럼 대출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리가 더 오르면 민간건설투자도 위축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전망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금리가 인상되는 가운데 주택경기도 침체된 상황이라 적극적으로 정비사업 수주나 분양에 나서기 힘든 측면이 있다”면서 “그러나 누적된 공급부족은 여전한 만큼 정부가 규제완화를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는 방향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기 신도시 볕 드리우나…'선도지구' 매수 문의 '활활'
2해외촬영 중 비보…'티아라' 함은정 모친 별세
3청강문화산업대학교, '日 웹툰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진행
4‘오너 4세’ 허서홍, GS리테일 이끈다…“신성장동력 창출 기대”
5곽튜브, 부산까지 가서 "감칠 맛이…" 동공 커진 까닭은
6'믿을맨' 홍순기, GS 부회장 내정...리테일 대표엔 허서홍 부사장
7고현정에게 '모래시계'는…미스코리아 뒷얘기 공개
8학연·혈연 다 동원했다며…백종원 '진정성' 보여줄까
9분당·일산·평촌 등 13개 구역 3만6000가구 재건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