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0兆’ 증안펀드 투입 시 수혜주는? 공매도 몰린 대형주

외국인 이탈에 10조7000억원 증안펀드 카드 만지작
투심 회복 가능 vs 증시 상승 효과 미미, 실효성 의견 분분

 
 
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은 7월 11일 취임식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시장 상황을 봐서 필요하다면 공매도(금지)뿐 아니라 증안기금(증안펀드)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국내 증시 하락장이 길어지면서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가 추가 하락을 막을 ‘구원투수’로 거론되고 있다. 증안펀드란 증시 안정화를 위해 증권사와 은행 등 금융회사와 유관기관들이 공동으로 마련한 기금이다. 금융당국이 증안펀드를 언급한 건 2년 만이다.
 
시장에서는 증안펀드 조성이 투심 회복에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증안펀드 규모가 코스피 시가총액의 1%가 채 되지 않은 금액이라 주가 상승에는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은 지난 11일 취임식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시장 상황을 봐서 필요하다면 공매도(금지)뿐 아니라 증안기금(증안펀드)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증안펀드 규모는 2020년 3월 조성한 10조7600억원이다. 국책은행 등 금융회사에서 10조원, 거래소·예탁원 등 증권 유관기관에서 약 7000억원을 조달했다. 역대 증안펀드는 2003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4000억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5015억원), 2020년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른 금융위기까지 총 세 차례로 구성됐는데, 3차 증안펀드가 역대 최대 규모다.  
 
과거 증안펀드는 1990년 증안기금(증시안정기금)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당시 주식 시장은 정부의 주식 시장 활성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 과잉 증자와 공모, 경기 둔화 등의 여파로 폭락했다. 1989년 4월 1007선이던 코스피 지수는 이듬해 9월 566선까지 43.81% 급락했다. 이때 투입된 증안기금은 대규모의 깡통계좌 매물을 동시호가로 일괄 매입해 추가 폭락을 막는 데 성공했다.  
 
2020년 3월 코로나19에 따른 폭락장에 금융당국은 3차 증안펀드를 4월부터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4월부터 증시가 반등세로 전환되면서 실제 사용되지 못하고 청산됐다.
 
금융당국이 2년 만에 증안펀드를 직접 언급했다는 것은 자금 투입 시점이 임박했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시장 안정’ 조치를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싣는다. 
 

증안펀드는 상승보단 안정에 방점 

 
증권가에선 증안펀드 투입 시 최대 수혜주는 하락 폭이 컸던 대형주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증안펀드가 증시 ‘상승’보다는 하락을 막는 ‘안정’에 방점이 찍혀있는 만큼 코스피200, 코스닥150, KRX300 등 대형주 위주의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상장지수펀드)·패시브 펀드에 자금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재혁 하나증권 연구원은 “공매도가 많은 종목 중심으로 증안펀드 자금이 유입된다면 공매도 투자자의 숏 커버(공매도한 주식을 갚기 위한 매수)가 발생하면서 주가가 더 상승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과거 증안펀드는 증시 안정화 측면에서 효과를 냈다. A증권사 연구원은 “과거 증안펀드를 집행하는 동안 증시는 반등하거나, 지수 저점을 형성했다”며 “2003년 신용카드 부실 사태 당시엔 평균 거래대금의 약 20%,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엔 8%에 해당하는 펀드 조성금으로도 큰 효과를 냈다”고 말했다.  
 
반면 부작용에 대한 목소리도 있다. 펀드 기금을 투입해도 증시 반등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투자에 참여한 금융사들의 손실이 늘어날 수도 있어서다. 실제 1990년 당시 증안기금이 투입했을 때 코스피 지수는 1007선에서 1992년 456포인트까지 밀려났고, 이 과정에서 증안기금에 자금을 댄 일부 증권사가 손실을 떠안아야 했다. 1996년 청산 이후에도 청산금 배분을 놓고 2010년까지 법정 공방까지 진행됐다.
 
여기에 증안펀드 규모가 전체 시가총액의 1%도 채 되지 않아 실제 효과는 미비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난 15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은 1837조원으로 증안펀드(10조7600억원) 비중은 0.58%에 불과하다. 코스닥 시장까지 합산한 전체 시총(2180조원)으로 범위를 넓히면 이러한 비중은 0.49%로 낮아지게 된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6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7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8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9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실시간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