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韓, 자본유출 징조 없어…옛날 같은 위기 아냐“
금리인상 최종금리 3.5% 수준
물가상승률 6% 가능성 있어

이 총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회의 동행기자단과 간담회를 열고 “자본이 빠져나갈 곳은 (이미) 빠져나갔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자본 유출이라기보다는 최근 몇 달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이 조정을 겪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는 외국인 투자자가 투자금을 가지고 나가는 것보다 내국인 해외투자가 매우 많아 가지고 들어올 수 있는 상황이기에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 상황이 아니다”라며 “현재 상황을 엄중하게, 열심히 보고 있지만 옛날 같은 위기가 아니라는 말이 빈말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 자리에서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의 최종 기준금리는 3.5%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 중 3.5%가 넘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그 아래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재정적책과 통화정책의 조합이 중요하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재정정책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상쇄하는 쪽으로 가면 안 된다, 그래서 (취약계층을) 타깃 해서 가야 한다는 게 컨센서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정정책이 통화정책과 같이 가는지 아닌지는 감세 여부보다는 부채 감축 여부를 봐야 하는데, 부채는 지금 줄이는 쪽으로 가는 것이 거시정책적 컨센서스”라며 “현 정부가 추진 중인 빚을 줄이는 정책은 국제적으로 잘 받아들여지고 있고 한국의 신뢰도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한미 통화스와프에 대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글로벌 경제 상황을 보고 적절한 시점에 결정할 것”이라며 “그것에 대비해 우리는 연준과 굉장히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 확대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날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을 다시 넘어가면 6%대 물가를 또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 총재는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미국 물가 수준이 올라가고 그래서 미국이 금리를 더 올리는 시나리오를 만들면 물가가 더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등 패션 플랫폼 ‘비상경영’ 돌입...무신사 갑자기 왜
2美 CSIS "조선 재건 위해 韓 한화오션·HD현대重 맞손 제시"
3“과태료 내고 말지”…15회 이상 무인단속 상습 위반자, 16만명 넘었다
4지은 지 30년 넘었으면 재건축 더 쉬워진다
5"中에 AI 칩 팔지마"…엔비디아에 이어 인텔도 못 판다
6클릭 한번에 기부 완료…동물구조 돕는 ‘좋아요’ 캠페인
7제니가 콕 집은 '바나나킥'...미국서 도넛으로 변신, 그 모습은?
8TSMC “인텔과 협의 없다”…기술 공유설 선 그어
9제주항공 참사, 美 소송 초읽기...‘보잉·FAA’ 전방위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