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국감서 고개 숙인 김범수 “전국민 서비스 불편 죄송, 경영 복귀는 없을 것”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종합감사 열려

 
 
사과하는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연합뉴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에 대해 대국민 사과했다. 아울러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과 이용자 보상 방안도 발표했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한 경영복귀설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김범수 센터장은 24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언급하며 직접 대국민 사과를 했다. 그는 “이 자리를 빌어 거의 전 국민이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불편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카카오가 처음 수익을 내기 시작한 시점부터 데이터센터 중요성 알고 있어서, 2018년부터 투자했지만 그 기간이 4~5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준비가 미처 안 된 점은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사과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센터장은 “글로벌 기업과 동일한 수준의 안정성을 갖추는 게 목표”라며 “장애가 났을 때도 최대한 빠르게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센터장은 일각에서 제기한 경영복귀설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김 센터장은 ‘경영에 나설 생각은 없느냐’는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경영에 나설 생각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창업자로서 지금 사태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하지만 전문적 영역에서 전문경영인이 저보다 훨씬 더 역량을 나타낼 것이다. 카카오는 실질적으로 제가 없는 구조가 꽤 오랫동안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번 국감에서는 카카오톡 먹통 사태로 인한 보상 문제도 나왔다. 특히 무료 서비스에 대한 보상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그는 “유료 서비스는 약관에 따라 이미 보상을 지급했거나 그 이상을 준비하고 있다”며 “무료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선례가 없어 이 부분은 피해 사례를 접수 받고 정리되는 대로 피해를 받은 이용자나 단체를 포함한 협의체를 만들어 피해 보상기준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의 “무료 서비스인 카카오톡은 카카오 서비스 전체의 뿌리다. 2018년 KT 아연지사 화재 사례와 같은 일괄 보상 방식을 검토할 의사가 있느냐”라는 질의에 대해서는 “그런 부분을 포함해 모든 수단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구체적인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KT는 2018년 화재로 카드 결제를 이용 못한 소상공인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상금을 지급한 바 있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GIO)도 이날 국감에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해 발생했던 서비스 장애에 대해 “네이버 서비스도 일부 장애가 있었던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직원들이 매뉴얼대로 움직여 장애가 빠르게 복구됐지만, 이용자 불편이 있었던 것을 알고 있다”며 “앞으로 이런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과 발언하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연합뉴스]
이날 국감에서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와 관련해 박성하 SK C&C 대표에 대한 날카로운 질의도 쏟아졌다. 특히 전력 이중화 조치 미흡, 데이터센터에 UPS와 배터리를 한 공간에 배치한 설계상의 문제, 화재에 취약한 리튬이온 배터리로의 교체 이유 등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보상안과 관련해 박 대표는 “이번 사고에 대해 SK C&C는 엄중한 책임감을 통감하고 있다. 보상에 대해선 사고 원인 규명이 이루어지기 전이라도 적극적으로 협의에 임할 것”이라며 “그룹과도 관련 내용을 협의할 계획이다.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국감에서는 카카오·네이버와 SK C&C간 ‘화재 발생 고지 시점’을 두고 진실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SK C&C 측은 화재 인지 후 입주사들에 화재 발생 상황 공유 및 전원 차단 결정을 안내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으나,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에 대해 부인했다.
 
김범수 센터장은 “화재가 난 시점, 안내 메시지를 받기 전에 2층에 있었던 서버 약 1만6000대가 동시에 정전이 돼버렸다”며 “안내를 받은 건 훨씬 이후이기 때문에 안내를 받는 것은 사실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도 “전원 차단에 대해서 제가 보고받기로는 사전 고지는 받지 않은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일반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던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일본 포럼 개최와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등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 국감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정청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최 회장의 불출석 사유서를 살펴보니 이유 같지 않은 이유”라며 최 회장을 상대로 상임위 차원의 검찰 고발 내지는 동행명령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6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7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8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9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실시간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