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악화·경쟁 압박·고물가’…올해 유통업계 주요 키워드는?
대한상의, 올해 유통업계 결산 발표
올해 최대 핫 이슈 '소비심리 악화'

‘소비심리 악화’, ‘유통업태간 경쟁 압박’, ‘고물가’ 등이 올해 소비시장의 10대 뉴스로 꼽혔다.
대한상의공회의소가 2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상의회관에서 올해 유통업계를 결산하고 내년 유통시장의 변화와 판도를 조망하는 ‘2023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제조, 유통, 물류, 금융업계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대한상의가 유통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22년 소비시장 10대 이슈'에 따르면 올해 최대 핫 이슈로는 '소비심리 악화(51.%)'가 선정됐다.
이어 ▶업태간 경쟁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30.7%) ▶고물가로 인한 출혈 압박(25.7%) ▶오프라인업태의 온라인 사업 진출(24.0%) ▶일상회복으로 온라인소비 둔화(21.3%) ▶배송 전쟁(20.0%) ▶가성비 탄단지의 편의점 도시락 인기(17.3%) ▶코로나 재난지원금(14.0%) ▶유통기업의 디지털전환 확산(13.3%)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논란(12.7%)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데다 고물가까지 겹치며 유통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경쟁은 심화됐다"며 "유통가의 키워드였던 디지털 전환과 대형마트 의무휴업 등 유통 규제는 기업과 사회의 숙제로 남게 됐다"고 말했다.
유통 전문가들은 내년까지 소비 위축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그에 대한 대책들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상품의 차별화 ▶디지털기반 운영비용 효율 강화 ▶상권 특성에 맞춘 점포별 개성화 ▶MZ 소비트렌드를 위한 편의점 콘텐츠 확장 △멤버십 생태계 구축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기도 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정치, 금융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내년에도 국내 유통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전사적인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 니즈 분석 및 맞춤형 상품·서비스 제공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비용 효율성 역량' 강화를 통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를 공략해나가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6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7“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8‘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9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