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원 순환 확대’…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석유화학 제품 생산

환경부, 29일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등 시행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시자원순환센터에 있는 재활용 쓰레기 모습. [연합뉴스]
그간 보일러 보조 연료로 사용돼왔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油)를 석유화학 제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시행규칙 및 건설폐기물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이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에 따라 폐플라스틱으로 제조한 열분해유를 납사, 경유 등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재활용 가능 유형이 연료 제조로만 규정됐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것이다.  
 
또 기존에 소각시설로 분류된 열분해 시설도 화학적 재활용 시설로 분류되며, 열분해 특성에 맞도록 설치·검사 기준이 마련됐다. 아울러 투입된 폐플라스틱 중량의 50% 이상을 열분해유로 회수하도록 재활용 기준이 구체화됐다.  
 
이 외에도 사료 및 비료 제조 등으로 재활용 용도가 제한됐던 커피찌꺼기와 버섯폐배지는 현장의 활용 여건과 환경 영향 여부 등을 고려해 유지(油脂) 제품 제조 및 화력·열병합 발전소 연료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사료로 활용되는 쌀겨가 폐기물에서 제외되는 등 활용성이 높은 폐기물에 대한 규제도 완화됐다.  
 
일회용 컵에 대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해 수집·운반 및 처리 체계도 개선됐다. 기존에는 일회용 컵 폐기물을 수집·운반하기 위해서 폐기물 수집·운반업 허가를 받아야 했는데, 폐기물 처리 신고 대상으로 완화돼 지자체와 대행 계약 없이 일회용 컵을 수집·운반할 수 있게 됐다.  
 
일회용 컵 수집·운반자는 승인받은 임시보관장소로 일회용 컵을 수집·운반할 수 있다. 특장차량(압축·암롤)이 아닌 밀폐형 덮개 설치 차량으로도 일화용 컵 수집·운반이 가능하다.  
 
소각 시설의 폐기물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설 현장 및 건설 폐기물 중간 처리업체의 불연(不燃)물 무게 기준을 10% 이내로 규정해 소각업체에 위탁·처리하도록 개선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6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7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8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9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실시간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