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현대일렉트릭, 창사 이래 최대 규모 ESS 프로젝트 수주

신남원 변전소에 2097억원 규모 ESS 공급

 
 
 
현대일렉트릭이 제주 금악 변전소에 공급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조감도. [사진 현대일렉트릭]
현대중공업그룹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현대일렉트릭이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13일 밝혔다. 현대일렉트릭은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주관하는 ‘계통 안정화용 ESS 건설 사업’의 일환인 신남원 변전소에 총 2097억원 규모의 ESS를 공급한다. 이번에 수주한 물량은 현대일렉트릭이 ESS 사업을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로, 오는 2023년 12월 가동을 목표로 납품될 예정이다.
 
ESS는 생산한 예비전력을 저장한 다음 필요한 시점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은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 꼽힌다. 국내 ESS 시장은 2017년 화재 사고 이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며 한동안 침체를 겪었으나, 한전의 공공 ESS 사업을 기점으로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계통 안정화용 ESS 건설 사업은 한전이 총 6개의 변전소에 걸쳐 970㎿(메가와트) 규모의 ESS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가운데 336㎿ 규모의 신남원 변전소는 부북 변전소와 함께 한전의 공공 ESS 사업 이래 가장 큰 용량으로 건설된다.  
 
이번 공급 계약을 통해 현대일렉트릭은 ESS를 구성하는 전력변환장치(PCS), 전력관리장치(LPM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배터리 등 주요 기자재 공급은 물론, 설계·시공·조달까지 일괄 수행한다. 현대일렉트릭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와 지난 2월 인수한 전력변환장치 전문 기업인 현대플라스포의 PCS 기술을 접목해 기술 시너지 효과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ESS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한전과의 계약으로 입증된 우수한 기술력과 신뢰성을 토대로 국내외 ESS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2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3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4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5"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

6 미국 관세 강행, 지수 선물 일제 폭락…나스닥 5%↓

7‘일단 안된다’는 당국…경쟁력 잃는 국내 거래소들

8정부·대학·기업, 청년 취업난에 팔 걷어붙였다

9‘쉰’ 청년 늘었다…“기업·대학 협력 늘리고 제도 손 봐야”

실시간 뉴스

1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2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3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4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5"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