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난해 대기업 총수 33명 중 28명 주식재산↓…김범수 창업자 감소 폭 가장 커

CXO연구소, 2022년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주식재산 6조원 감소
이재용 회장, 유일하게 10조 클럽에 포함

 

 
사진은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모습 [국회사진기자단]
지난해 국내 주요 그룹 총수 33명 중 28명의 주식 재산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감소한 주식평가 총액은 약 18조원으로 1년 사이 30% 가까이 쪼그라든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일 ‘2022년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 33명을 조사한 결과다. 총수의 주식 재산은 그가 직접 보유한 ‘상장사’ 지분과  비상장사를 통해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현황까지 포함했다고 한국CXO연구소는 설명했다.  
 
조사에 따르면 33개 그룹 총수의 지난해 1월 초 주식평가액은 64조6325억원이었는데 연말 평가액은 45조9191억원으로 급감했다. 하락률은 29%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33개 그룹 가운데 지난해 특히 큰 폭으로 재산이 줄어든 사람은 5명이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의 재산 감소액이 가장 많았다. 그는 5910만 주가 넘는 카카오 지분을 직접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자신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사 케이큐브홀딩스를 통해서 카카오와 카카오게임즈 지분도 함께 보유 중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김 창업자의 주식 재산은 지난해 말 기준 5조6557억원 수준이라고 한국CXO연구소는 전했다. 지난해 초 김 창업자의 재산이 12조2269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6조5700억원(53.7%↓)이 줄어든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해 초 14조1866억원의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1년 만에 11조6735억원 수준으로 주식 재산이 줄었다. 1년 사이 2조5100억원(17.7%↓)가량 감소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의 주식재산은 10조1864억원에서 8조110억원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재산도 1조3900억원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1조 2160억원)가 보유한 주식 가치도 1조원 넘게 빠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8951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8620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6605억원)도 수천억원의 재산 감소의 쓴맛을 봤다.  
 
이런 상황에서도 주식재산이 늘어난 사람은 5명으로 집계됐다. 이익래 다우키움 회장의 주식 재산은 2116억원에서 3371억원으로, 이순형 세아 회장 재산은 1113억원에서 1478억원으로 불었다. 장형진 영풍 회장(389억원), 정몽준 HD현대그룹 총수 겸 아산재단 이사장(735억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284억원)도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모습.[연합뉴스]

10조 클럽 총수, 3명→1명으로 줄어 

주식재산이 10조원을 넘어 이른바 10조 클럽 일원으로 불렸던 총수들의 상황도 크게 변했다. 지난해 초 기준 이재용 회장과 서정진 명예회장, 김범수 창업자 세 사람이 10조 클럽이었지만, 현재는 이재용 회장만 10조 이상의 주식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 재산 순위도 지난해 초 이재용 회장, 김범수 창업자, 서정진 명예회장이 1~3위에 이름을 올렸었지만 1년 만에 김 창업자와 서 명예회장의 순위가 바뀌었다. 이 밖에 주식재산 4위에는 정의선 회장이 5위에는 최태원 SK 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서경배 회장(6위), 구광모 LG그룹 회장(7위), 방준혁 의장(8위), 정몽준 이사장(9위), 이재현 CJ 회장(10위)이 뒤를 이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연구소장은 “그룹 총수들은 경영권 방어를 위해서 지분을 쥐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지난해는)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큰 한 해로 기록됐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