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증가에…작년 일평균 외환거래액 ‘최고치’
평균 거래 규모 623억달러
외환파생상품 거래도 10.3% ↑

27일 한국은행의 ‘2022년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에 따르면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현물환·외환파생상품 등 외환거래 규모는 622억8000만 달러로 전년 583억1000만 달러 대비 7% 증가했다. 이는 2008년 통계개편 이후 연중 일평균 최대치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수출입 규모 증가,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외환파생상품 거래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수출입규모는 2021년 1조2595억 달러에서 2022년 1조4150억 달러로 늘었다. 또한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일평균 변동률은 2021년 0.32%에서 2022년 3분기 0.50%로 확대됐다.
이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에는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 및 수출입 규모 축소 등으로 외환거래 규모가 상반기에 비해 감소했다”고 말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결제액은 2022년 상반기 2080억 달러에서 하반기 1676억 달러로 줄었다.

상품별로 보면 일평균 현물환 거래 규모는 231억3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8% 증가했다. 외환파생상품 거래는 392억5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0.3% 늘었다.
은행별로는 국내은행의 외환거래 규모가 266억4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2.6% 증가했고, 외국은행 지점의 외환거래액은 357억4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0.5% 늘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참치캔 1등 회사 상폐 결정...동원F&B 갑자기 왜
2빅파마 주목 받는 이중항체 ADC…에이비엘·에이비온 개발 박차
3미래에셋 vs 한투 글로벌 영토 확장 ‘각축전’
4'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5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6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7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8‘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9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