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로또 분양’은 옛말…분양가 밑도는 신축아파트 거래 속출

분양가보다 최대 수억원 낮게 매매…입지 부족·고분양가 책정 영향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신축 아파트 중에서도 분양가를 밑도는 거래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 분석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하반기(7~12월)부터 지난달까지 거래된 신축 아파트 분양가와 실거래가 비교 결과 분양가(옵션 제외·층수 반영)를 밑도는 가격에 매매된 단지들이 올해 들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단지는 2020년 1월 이후 분양된 전국 아파트다.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작년 하반기 분양가를 밑도는 가격에 거래된 단지는 20곳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한 달 만에 11개 단지가 분양가보다 낮게 거래됐다.

올해 1월 거래된 주요 단지를 살펴보면, 대구 달성군 화원읍 ‘화원신일해피트리꿈의숲’ 전용면적(이하 전용면적 기준) 84㎡(21층)는 지난달 3일 2억7300만원에 중개거래됐다. 이 단지는 2020년 8월 3억9800만원에 분양됐지만, 분양 후 2년 5개월 만에 분양가보다 1억2500만원이나 내려간 가격에 매매됐다. 분양 당시 37가구 모집에 193명이 몰려 5.2대 1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지만, 집값 하락 여파를 피해가지 못한 것이다.

지난달 2일 거래된 울산 운주군 언양읍 'e편한세상울산역어반스퀘어' 84㎡(3층)는 2021년 3월 당시 분양가 4억200만원보다 6200만원 낮은 3억4000만원에 직거래됐다. 이 단지도 청약 당시 11가구 모집에 627명이 몰려 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도 예외는 아니다. 인천 서구 경서동 ‘북청라하우스토리’ 59㎡형 2020년 6월 3억1850만 원에 분양됐지만 지난달 30일 2억7000만 원에 직거래됐다. 경기 파주시 파주읍 ‘파주연풍양우내안애에코하임’ 59㎡형은 2020년 3월 분양가(2억2800만원)보다 2300만원 낮게 팔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전국적으로 집값이 조정된 후로는 상대적으로 입지가 부족한 단지들을 중심으로 분양가보다 낮은 매매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은 지방의 일부 단지는 고분양가를 책정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볼보 EX90, ‘2025 월드 카 어워즈’에서 ‘월드 럭셔리 카(World Luxury Car)’ 수상

2'120억 손배소' 김수현, 소송비 미납 의혹…입장 밝혔다

3신한투자-솔라나재단, 디지털자산 생태계 확장 위한 전략적 MOU

4CJ바이오사이언스, 연구자 맞춤형 생명정보학 컨설팅 서비스 출시

5현대차그룹, ‘세계 올해의 차’ 4년 연속 석권…EV3·캐스퍼 일렉트릭 2관왕

6셀트리온, 중남미 지역 주요 국가 입찰 성과 확대

7아이더세이프티, ‘2025서울모빌리티쇼’서 프리미엄 워크웨어 신제품 공개

8쿠팡, 3조원 돌파…온라인쇼핑 1위 독주 체제 굳건

9미중 통상 전쟁 불똥 K-배터리에도…中 기업과 합작 지연·취소 이어져

실시간 뉴스

1볼보 EX90, ‘2025 월드 카 어워즈’에서 ‘월드 럭셔리 카(World Luxury Car)’ 수상

2'120억 손배소' 김수현, 소송비 미납 의혹…입장 밝혔다

3신한투자-솔라나재단, 디지털자산 생태계 확장 위한 전략적 MOU

4CJ바이오사이언스, 연구자 맞춤형 생명정보학 컨설팅 서비스 출시

5현대차그룹, ‘세계 올해의 차’ 4년 연속 석권…EV3·캐스퍼 일렉트릭 2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