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차 맞아? 코볼리는 잊자”...주인 바뀌니 달라진 KG 모빌리티[백카(CAR)사전]
50만명 다녀간 서울모빌리티쇼 후끈 달군 KG 콘셉트카
‘정통 SUV’ 코란도·무쏘로 보여준 강인한 이미지 되찾아
자동차 산업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쉴 새 없이 신차가 쏟아지고, 하루가 다르게 기술 수준이 발전합니다. 이 과정에서 각종 사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자동차 관련 정보는 정말 방대합니다. 그래서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지식을 모아서 정리한 책인 백과사전처럼 ‘백카(CAR)사전’ 코너를 통해 자동차와 연관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지난주 자동차 업계는 국내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인 ‘2023 서울모빌리티쇼’로 뜨거웠다.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9일까지 열흘간 진행된 이 행사에는 51만여 명이 방문했다. 2021년과 비교하면 104% 늘어난 것이다. 그만큼 볼거리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올해는 전 세계 12개국 163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했다.
올해는 완성차 업체의 참여도가 저조했다. 전시 부스를 차린 완성차 업체는 현대자동차, 기아, KG 모빌리티, BMW, 포르쉐, 테슬라 정도였다. 이 중 가장 큰 관심을 받은 곳은 KG 모빌리티다. 가장 많은 모델을 선보이기도 했지만 쌍용자동차에서 사명을 변경한 뒤 처음으로 미래 전략 차종의 밑그림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도 KG 모빌리티 전시관을 방문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KG 모빌리티는 새로운 체제에서 완전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줬다. ▲토레스 기반 준중형 도심형 전기 픽업 ‘O100’ ▲정통 오프로더 코란도의 아이코닉한 디자인을 오마주한 준중형급 전기 SUV ‘KR10’ ▲기존 내연기관 SUV와 차별화된 새로운 콘셉트의 대형 전기 SUV ‘F100’ 등 3종의 콘셉트카는 회사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기 충분했다. 반짝 인기를 얻은 티볼리의 귀여운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던졌다.
현장에서는 디자인 측면에서 한 단계 이상 진화했다는 평가가 많이 나왔다. KG 모빌리티관에서 콘셉트카를 관람한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아주 잠시 동안이지만 F100을 보면서 허머EV를 떠올렸다”며 “과거 자신들의 색깔을 잃어 코볼리(코란도+티볼리)로 불리던 시절과는 완전히 달라진 모습”이라고 말했다.


2013년 서울모터쇼에서 선보인 콘셉트카 ‘LIV-1’의 후속 버전이다. 회사의 디자인 철학인 ‘네이처-본 3모션’(Nature-born 3Motion)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대자연의 웅장함(Dignified Motion)을 모티브로 대형 SUV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표현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차명인 LIV는 무한한 가능성(Limitless potentials), 한없는 즐거움(Limitless Joy)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같은 해 4월 서울모터쇼에서는 ‘XAV-Adventure’라는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초기 코란도 이미지를 재해석한 레트로 디자인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우리가 쌍용차에게 원했던 남성미 넘치는 모습에 미래지향적인 이미지가 조합된 디자인이었다. 독특한 형태의 사이드 미러와 방향지시등으로 미래 디자인 방향성을 보여줬다.

XiV-Air는 ‘도심의 일상 속에서 즐기는 자연’을 모티브로 디자인됐다. 오픈형의 타르가 톱(Targa Top) 구조로 제작됐으며, 측면은 간결한 라인을 활용해 경쾌한 리듬감을 살렸다.
함께 전시된 XIV-Adventure는 ‘삶의 여유를 찾아 떠나는 설렘과 낭만’을 디자인 모티브로 일상에서의 탈출과 새로운 미래를 위한 도전정신을 표현한 콘셉트카다. 범퍼 프로텍터와 루프캐리어 등의 디자인 요소들로 언제든 드넓은 자연 속으로 떠날 수 있는 준비가 됐음을 어필했다.
업계 관계자는 “토레스 기반 픽업부터 대형 전기 SUV 콘셉트카까지 디자인 완성도는 과거보다 더 높아진 것 같다”며 “과거 콘셉트카 디자인은 둥글둥글한 느낌이 강했는데 이제 터프한 이미지가 한층 강조됐다. KG 모빌리티가 콘셉트카 디자인을 어느정도 수준까지 양산형 모델로 구현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