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1.1%…한 분기 만에 ‘반토막’
지난해 4분기엔 2.6% 기록
고물가·고금리 현상에 경제성장률 하락세 가팔라
미 연방준비제도 5월 금리 0.25%p 인상 가능성↑

지난해 4분기만 해도 미국의 국내총생산 수치는 2.6%를 기록했는데 이후 한 분기 만에 성장세가 급격하게 떨어진 모습이다.
이는 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라 미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부터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p 인상) 등을 이어가면서 미국 경제에 충격을 줬고, 이에 성장률이 둔화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GDP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1.6%, -0.6% 등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3분기에 3.2%로 비교적 큰 폭으로 반등하는 등 회복세를 보였지만 다시 빠르게 떨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기 둔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1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4.2% 상승하면서 예상치(3.7%)를 웃돌았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고용시장도 좀처럼 식지 않는 모습이다. 같은 날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4월 16∼22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3만 건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4000건을 훨씬 웃돌았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186만건으로 3000건 감소했다. 전주만 해도 이 수치가 6만1000건 늘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여파가 나타났다는 해석도 나왔지만, 이 수치도 감소하면서 여전히 노동시장이 강하다는 사실이 재확인 됐다.
이에 미 연준이 5월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할 경우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0.25%p 수준으로 한 차례 더 인상한 후 금리 인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5월 2~3일(현지시간) 열릴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