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사립대 77%가 적자…“물가 고려하면 등록금 20% 낮아”

대교협 ‘등록금 및 사립대 운영 손익 분석 결과’ 발표
적자인 사립대, 2011년 46곳서 2021년 120곳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사립대학 10곳 중 8곳은 2021년 기준 운영수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10년 이상 등록금을 동결한 대학이 많아지면서 사립대학 10곳 중 8곳은 2021년 기준 운영수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인상률을 고려하면 실질 등록금이 2011년과 비교해 20%가량 낮아진 영향을 받았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7일 발표한 ‘대학 등록금 및 사립대학교 운영 손익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비수도권 150여 개 사립대학 중 2021년 운영수지 적자를 기록한 대학은 120곳(76.9%)으로 2011년 46곳(29.1%)과 비교해 47.8%포인트 증가했다.

입학정원이 3000명 이상인 대규모 대학 중 운영수지 적자를 기록한 대학 비중도 2011년과 비교하면 수도권 대학은 2021년 40.8%포인트, 비수도권 대학은 49.7%포인트 늘었다.

입학정원 2000명 이상의 중규모 대학은 더 많은 곳이 적자에 시달렸다. 수도권 대학의 경우 적자 대학의 비중이 2011년 17.6%에서 2021년 85.0%로 67.4%포인트, 비수도권 대학은 같은 기간 적자 대학 비중이 21.4%에서 87.9%로 66.5%포인트 증가했다.

비수도권 대학은 적자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수도권에 있는 대학은 2011년 적자인 곳이 전체 대학의 13.6%에 불과했으나 2021년 54.5%로 확대됐다. 비수도권의 대학은 2011년 15.0%에서 2021년 64.7%로 적자 대학의 비중이 급증했다.

이들 대학은 운영수익의 대부분을 등록금과 수강료 등에 의존하고 있으나, 등록금이 10년 이상 동결돼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분석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인상률을 반영한 국·공립대학의 평균 실질 등록금은 381만원, 사립대학은 686만원으로 2011년 대비 각각 20.8%, 19.8% 줄어들었다고 대교협은 지적했다.

대교협 관계자는 “대학 등록금은 오랜 기간 동결됐거나 인하됐다”며 “사립대학의 열악한 재정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 수익을 다각화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학 재정 확충뿐 아니라 대학의 재정 자립 능력 향상과 이를 위한 자율성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

6신한은행, 전역장교 30여명 신규 채용한다

7어니스트AI, 금융규제 샌드박스 통한 '대출 플랫폼' 4월 출시

8금융 AI 핀테크 혜움, 10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9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

실시간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