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지’ 서울 아파트, 외지인 눈독…강남·마포구 거래 비중 ↑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는 외지인 매입…그외 지역 실수요 중심 거래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올해 들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가격이 고점 대비 상당 폭 하락한 데다, 올해 들어 점차 거래에도 숨통이 틔자 ‘상급지’ 갈아타기 기회를 잡는 수요자가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23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5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1만3373건 중 서울 외 다른 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건수는 3385건(25%)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거래된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는 서울 외 다른 지역 거주자가 사들인 셈이다.
서울 안에서 전년 동기 대비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 늘어난 곳은 강남구였다. 작년 1∼5월 거래된 강남구 아파트 1005건 중 외지인 거래는 119건으로 비중이 12%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849건 중 213건(25%)으로 13%포인트 늘었다.
강남구 다음으로는 마포구가 22%(322건 중 72건)에서 35%(603건 중 210건)로 외지인 매입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고 올해 들어 금리가 다소 안정세를 보이면서 갈아타기 수요가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외지인 매입 비중은 줄고 관할 시군구 내 거주자가 해당 지역에 아파트를 산 비중이 늘어났다. 작년과 올해 1∼5월 관할 시군구 내 거주자의 매입 비중을 보면 전국은 50.8%에서 57.3%로 6.4%포인트 늘었다.
지방 광역시는 53.2%에서 57.3%로 비중이 4.2%포인트 늘었고, 기타 지방은 53.6%에서 65.5%로 11.9%포인트 커졌다. 반면 서울은 40.3%에서 36.8%로 줄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2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3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4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5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6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7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8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9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