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컴위드, 간편인증 통합 플랫폼 ‘위드어스’ 출시

“편의성·보안성 높인 간편인증 중계 서비스”

한컴위드 위드어스 PC 화면(왼쪽)과 모바일 인증 화면. [제공 한컴위드]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한글과컴퓨터그룹(한컴그룹) 계열사인 한컴위드가 다양한 전자서명인증사업자(인증기관)의 간편인증서를 활용,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간편인증 중계 서비스 ‘위드어스’(withAuth)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위드어스는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공공·금융기관 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다양한 인증기관에서 선보이는 간편인증 서비스를 통합한 플랫폼이다. 애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연동만으로 원하는 인증기관의 간편 인증서를 자사 서비스에 도입할 수 있다. 간편인증은 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대신 PIN 번호, 바이오 정보, 패턴 입력 등의 방법으로 전자서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해 다양한 전자서명 수단 도입을 희망하는 민간 인터넷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간편인증 통합 모듈 지원 시범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위드어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배포한 간편인증 통합 모듈을 기반으로 개발, 표준성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또 자체 보안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을 강화했다.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설계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 밖에도 ▲자유로운 인증서 추가·삭제 기능 ▲인증 단계 간 이동 기능 ▲입력 정보 유지 및 저장 기능 등의 편의 기능이 도입됐다. ▲이용자 민감정보 암호화 ▲클라이언트 리소스 코드 난독화 ▲PC 브라우저 개발자도구 디버깅 방지 등의 보안 기술도 적용됐다.

송상엽 한컴위드 대표는 “한컴위드는 구축형 간편인증 중계 솔루션 ‘애니싸인 라이트 플러스’를 선보인 이후, 다양한 고객사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간편인증 중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간편인증 이용률이 늘어나는 환경을 고려한 구독형 중계 서비스 위드어스를 필두로 차세대 인증 시장을 주도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최근 화두인 ‘제로 트러스트’ 보안 개념을 기반으로 한 무자각 인증 기술과 2단계 인증(MFA)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추가 구현해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공격에 의한 사이버 범죄 예방에도 앞장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

6신한은행, 전역장교 30여명 신규 채용한다

7어니스트AI, 금융규제 샌드박스 통한 '대출 플랫폼' 4월 출시

8금융 AI 핀테크 혜움, 10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9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

실시간 뉴스

1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블로믹스, 신작 게임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3카카오뱅크, ‘연 7% 금리’ 한국투자증권 특판 RP 완판

4경영권 승계 자금 논란 불식?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줄인다

5비트코인, 블랙먼데이 딛고 소폭 반등…1억1800만원대로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