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 기업 탈피하는 루닛…플랫폼·신약 개발 청사진 공개
"10년 내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5조원 달성 목표"
신약 개발 준비 착수...美 법인에 임상 조직 신설 계획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자율형 AI 등 개발 예정

루닛이 AI으로 암을 정복한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10년 청사진을 공개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루닛스퀘어에서 창립 10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기반 솔루션 개발 기업에서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업으로 변모할 것"이라며 "다른 신사업도 추진해 10년 뒤인 2033년까지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5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루닛은 AI 의료 영상 분석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의료 빅데이터 사업'에 새롭게 도전한다. 의료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AI이 학습할 수 있도록 연합학습을 활용한 계획이다. 루닛은 매출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올리고 있어, 국내 병의원보다 해외 병의원 및 검진센터, 의료 관련 기관이 보유한 의료 정보를 수집하고, AI에 학습시키기 위해서다. 루닛은 이를 통해 암 진단과 치료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루닛은 자율형 AI(Autonomous AI)와 전신 MRI(Whole-body MRI) 등 차세대 암 정밀 진단 제품도 개발한다. 루닛에 따르면 전신 MRI는 영상 진단 방식보다 검출률이 높고, 위양성률이 낮아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 없이 암을 검진할 수 있다. 서 대표는 "국내는 건강검진이 정착돼 있어 상황이 다르지만, 해외의 경우 유방암과 폐암, 대장암 등 발병률이 높은 5대 암을 검진할 환경이 제대로 조성돼 있지 않다"며 "MRI에 AI을 결합해 잘 발견하지 못하는 암종을 검진 체계로 편입해 모든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기반을 다질 계획"이라고 했다.

루닛은 바이오 기업으로부터 신약 후보물질을 받아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내고, 초기 임상까지 마친 뒤 다른 기업에 기술 수출하는 사업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임상 조직은 미국 법인에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서 대표는 "현재 미국 법인에 임상을 이끌 전문 인력 1명을 현재 채용했고, 임상 조직은 10여 명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루닛 스코프도 기존에는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 대상의 바이오마커 개발에 집중해 왔다면, 향후에는 4세대 항체-약물 중합체(ADC)로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