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이 주목한 ‘이 기업’…펀드 통해 국내 ADC 개발사 투자

삼성의료원 연구 활용 기업…공동연구 진행 예정
구체적인 투자 규모 안 밝혀…국내 기업 첫 투자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펀드가 차세대 신약 개발 기술을 연구하는 국내 기업에 투자한다. 이 기업과 공동 연구도 진행해 국내 신약 개발 생태계도 활성화한다는 구상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참여하고 있는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네 번째 투자처로 국내 바이오 기업인 에임드바이오를 선정했다. 회사는 에임드바이오에 지분 투자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에임드바이오는 2018년 설립된 항체-약물 중합체(ADC) 개발 기업이다. 삼성의료원 연구팀의 바이오 플랫폼 연구 성과를 활용한 독자 기술로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교모세포종과 방광암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파이프라인은 내년 임상 단계에 진입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분 투자와 함께 에임드바이오와 ADC 툴박스를 공동 개발한다. 단일 항체를 기반으로 한 아토피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인 AMB001의 위탁개발(CDO) 과제도 수행한다. 차세대 신약 개발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ADC 부문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유망 기업과 협력하는 모습이다.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 2021년 출자한 1500억원과 올해 1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출자한 200억원을 더해 1700억원 규모로 운영 중이다. 미국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인 재규어진테라피와 나노입자 약물 전달체 개발사 센다바이오사이언스, 스위스의 ADC 기술 개발사인 아라리스바이오텍 등에 투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韓 찾은 ‘디트로이트의 유령’...돌아가는 GM 한국사업장 ‘철수 시계’

2韓 금융사, ‘IMF 철수 흑역사’ 태국 시장의 의미는

3‘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4“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5“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

6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7“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

8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9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실시간 뉴스

1韓 찾은 ‘디트로이트의 유령’...돌아가는 GM 한국사업장 ‘철수 시계’

2韓 금융사, ‘IMF 철수 흑역사’ 태국 시장의 의미는

3‘반입 금지’ 몰랐다가 낭패 …日 여행 필수템 ‘이브’ 못 들여온다

4“벚꽃 위로 눈 날리고”…전국 강풍특보에 날씨 혼돈

5“또 꺼졌다” 부산 도시철도 공사장 인근 ‘싱크홀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