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없으면 빨리 늙는다?…흡연·비만보다 해로워”
호주 에식스대·애들레이드대 연구 결과
흡연·비만·실업보다 주거 환경 영향 커

BBC를 비롯한 외신 등에 따르면 호주 에식스대와 애들레이드대 연구팀은 불안한 주거 환경이 생물학적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일 수 있다고 밝혔다. 생물학적 노화는 실제 나이와 상관없이 신체 조직이나 세포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생물학적 노화가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영국의 가구패널조사(BHPS)에 참여한 1420명의 주거 환경과 건강정보를 분석했다. 혈액을 통해 유전자(DNA)를 확인한 뒤 참여자의 생물학적 노화 속도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 민간 주택을 임차해 거주하는 세입자는 그렇지 않은 참여자보다 연간 17일 더 빨리 늙었다. 이는 비만보다 2배, 흡연의 50% 정도 더 빠른 속도다. 실업 상태보다도 7일가량 더 빨랐다. 이에 연구팀은 불안한 주거 환경이 다른 요인보다 신체에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한 것으로 봤다.
연구에 참여한 호주 주택연구센터의 에이미 클레어는 “세입자가 감당할 수 있는 주택 비용과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 기간, 주거 환경이 실제로도 개인의 건강에 중요하다는 점이 나타난 것”이라며 “생물학적 노화 속도는 건강 악화와 만성질환 위험도 증가, 사망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거 불안정성과 관련 있는 문제도 생물학적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거 비용 문제가 노화 가속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됐다. 세입자가 임대료를 체납했을 때는 연간 12일이나 빠르게 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대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은 연간 5.5일 더 빨리 늙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사를 자주 다녀도 생물학적 노화가 빨라졌다. 원하지 않는 이사를 해야 한다면 연간 3.3일 빠르게 늙었다. 좁은 공간, 난방시설 부족, 누수 등 요인도 생물학적 노화와 관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생물학적 노화는 문제 요인을 개선하면 노화를 되돌리거나 완화할 수 있다”며 “주택정책의 변화가 개인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역학 및 지역사회 건강 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에 발표됐다. 또한 백인 유럽인의 데이터만 연구에 활용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관세 전쟁 여파에 코스피 2,400선 위협…대형주 줄줄이 하락
2“AI로 1000억 달러 버는 통신사 시대 온다”...韓통신 3사, 현 성적표는?
3'연정훈♥' 한가인, 대학생 시절 연애 고백 "첫사랑은 외대男"
4에일리♥최시훈, 신혼집은 '공동명의'..재산관리는 각자?
5신라면세점, 배우 진영과 글로벌 고객 잡기 나선다
6'김준호♥' 김지민, 웨딩드레스 공개에 '울컥' 왜?
7서울에 무슨 일이…세계 부자도시 19위→24위 ‘뚝’ 왜?
8남양유업, 불가리스·위쎈 7년 연속 몽드셀렉션 금상 수상
9규제에도 불붙은 초고가 아파트…서울 50억 이상 거래 '신고가 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