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규제에도 폭증하는 ‘가계부채’, 당국·은행 대출 고삐 죈다

당국 ‘변동금리 스트레스 DSR’ 연태 도입 예정
은행도 심사 강화 통해 당국 대출 관리에 협조
5대 은행 10월 가계대출 잔액 2.4조원↑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대출 금리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를 넘는 데다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하고 있어 정부가 대출 조이기에 더 힘을 쏟기로 했다. 은행들도 심사를 깐깐하게 보면서 대출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29일 고위당정협의회를 열어 연내 ‘변동금리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도입하고, ‘커버드본드’(우량자산담보부 채권·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 발행 확대를 유도하는 등 변동금리 대출 비중을 축소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변동금리 스트레스 DSR’은 DSR 산정 시 일정 수준의 가산금리를 적용하는 제도로 대출자가 매달 갚아야 하는 돈이 증가하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를 낸다. 

‘커버드본드’는 금융기관이 부동산담보대출 등 자신이 보유한 고정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장기·저금리 재원확보가 용이해 조달한 자금으로 장기·고정금리 대출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

다만 당국은 대출 관리 강화로 인해 1주택자나 취약 계층에 대한 대출 지원 축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1년간 한시적으로 공급하기로 한 특례보금자리론의 경우 애초 공급 목표(39조6000억원)를 넘더라도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시중은행도 당국과 발을 맞출 예정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은행과 신용카드회사 등 204곳의 국내 금융기관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들은 국내은행 대출태도가 가계와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4분기 -11을 기록해 3분기(-2)보다 대출 문턱을 더 높일 것으로 조사됐다. 지수가 플러스면 은행의 대출 태도가 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가계주택에 대한 대출태도 지수는 -11을 기록해 7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했다. 

당국과 은행들이 대출 조이기에 일제히 나선 이유는 높은 대출 금리와 DSR 규제에도 불구하고 최근 가계대출이 크게 늘고 있어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6일 기준 684조8018억원을 기록해 9월 말보다 2조4723억원 증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

실시간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