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금리·PF 충격 증권사…“상고하저 두렵다”
[빚내서 빚 갚는다]④
채권금리 오르며 채권 평가 손익에도 ‘빨간불’
국내외 부동산 리스크 커지며 충당금 부담↑
하반기도 “비우호적인 증권업 환경 지속” 전망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국내 증권사 실적에도 먹구름이 끼었다. 대형사들마저 3분기 실적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금리 변동성과 부동산 금융 불확실성으로 ‘상고하저’ 흐름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선 금리 불확실성으로 인해 채권평가손실 커지면서 대형증권사 수익성을 발목 잡았다. 이는 하반기 들어 채권금리가 다시 오르면서 증권사 실적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아지면 채권 가격은 반대로 내려간다. 이는 수익률에 악영향을 줘 채권 평가 손실 리스크로 이어지게 된다. 더욱이 증권사들은 채권운용 규모가 커 금리가 조금만 올라도 손실 규모가 상당하다.
실제 빅5(자기자본 규모 순) 증권사들은 채권금리가 오르면서 운용수익에 불똥이 튀었다. 올 들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며 채권금리가 하락세를 보이자 운용채권 규모를 다시 늘린 탓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빅5 증권사의 올해 6월 말 운용채권 규모 합은 106조6824억원이다. 앞서 이들의 운용채권 규모는 지난해 12월 101조1791억원, 올해 3월 말 102조9512억원으로 점차 늘려왔다.
이 중 미래에셋증권(28조4635억원)과 한국투자증권(25조2372억원)의 운용채권 규모가 20조원을 넘어서며 손실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KB증권(17조9413억원)과 NH투자증권(17조7161억원), 삼성증권(17조3242억원) 순을 기록했다.
앞서 국내 증권사들이 채권 운용 실적 덕에 상반기 호실적을 낸 것과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난해 치솟던 시중금리가 올 초 하향 안정세를 보이면서 채권 운용 실적이 반등했지만 다시 금리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다. 지난해 4.5%까지 치솟았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3월 말 기준 3.3%까지 떨어졌지만 10월 말 4.09%까지 치솟았다. 저금리 채권의 매력이 떨어진 것이다.
채권 관련 손실 외에도 또 다른 악재도 겹쳐있다. 특히 부동산 리스크가 커지면서 하반기 증권사 실적도 갈릴 것으로 보인다. 중소형사의 경우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손실 부담이, 대형사는 해외 부동산 투자에 따른 손실 부담이 기업은행(IB) 부문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채권평가손실·부동산 리스크↑
올해 증권사의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져)은 6월말 기준 28조4000억원에 육박한다. 연체율도 심각하다. 올해 6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7.28%에 달하며 대출 잔액은 5조5000억원이다.
증권사 부동산 PF 사업은 지난 코로나19시기 저금리로 호황을 보였다. 하지만 고금리 여파가 지속되면서 사업 진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면서 부실화 리스크로 번지고 있다. 증권사는 보통 본 PF사업 전 브릿지론이나 대출을 담보로 한 유동화증권(ABCP 등)을 발행, 매입약정 등 보증 형태로 수수료를 받는다. 그런데 금리상승으로 사업이 부실화하면 보증채권 대납 인수 또는 보유채권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증권사들이 투자했던 해외 부동산은 상황이 국내보다 더 심각하다. 해외부동산 투자의 경우 주요 투자국의 시장 침체로 투자손실이 발생하고 있고 향후 투자위축 및 손실 규모 확대가 지속될 전망이다. 올 상반기 기준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규모액은 8조3000억원으로 전체 금융권의 15%에 달한다.
앞서 국내 증권사와 운용사들은 저금리가 한창이던 지난 2017년부터 미국과 유럽 위주로 프라임급 오피스 빌딩 투자를 공격적으로 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확산하면서 오피스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전 세계적인 고금리 장기화 기조와 맞물려 해외 부동산 시장은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국내 증권사들은 후순위 투자를 많이 해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대부분 떠안아야 한다. 부동산 PF부실과 해외 부동산 리스크 등으로 인해 증권사들이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해서 손실이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은 하반기에도 금리 변동성과 부동산 금융 불확실성으로 비우호적인 증권업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미국을 중심으로 주요 선진국의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금융시장이 단기간 내 안정화될 가능성에 대해 예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주요 증권사들 실적 역시 좋지 않다. KB증권·NH투자증권·하나증권·신한투자증권·하이투자증권·BNK투자증권의 3분기 순이익 합계는 213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4318억원) 대비 49% 감소한 수준이다.
김예일 한신평 수석애널리스트는 “업권 내 일정 수준 이상의 경쟁 지위와 신용도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들이기에 현재 비우호적인 증권 업황을 상당 부분 설명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금리 상승, 운용 실적 저하, IB 부문 수수료 수익 감소, 대체투자 등 평가손실, 부동산 PF에 따른 충당금 설정 등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아직까지는 상당 규모의 브릿지론이 만기 연장을 통해 부실화가 지연되는 상황이지만, 앞으로 선별적인 만기 연장과 재구조화로 부동산 PF 시장의 기조가 변할 경우 미뤄뒀던 부실이 빠르게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현대해상, 고객 전용 건강검진 예약서비스 제공
2빨간 리본에 중요 부위만 가려…'전라 누드' 패리스 힐튼, 근황은
3남보라, 자녀 계획 묻자 "체력 허락되면…"
4우리은행, ‘AI 지식상담 시스템’ 고도화…고객관리 활용
5JB금융, 신임 감사본부장에 김동성 전 금감원 부원장보
6스타일 포기 못하는 ‘얼죽코’...“한파엔 두르세요”
7SOOP, DN그룹과 프로게임단 네이밍 스폰서십 체결…내년부터 ‘DN 프릭스’로 활동
82024년 채용 결산, 기업 절반은 계획한 인원 채용 못해
9롯데 화학군, 반도체 소재 생산 1300억 투자...“스페셜티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