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혼연령 男 33.7세 女 31.3세…한은 “미혼인구 빠르게 확대 중”
한은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발표
“현재와 미래 노동공급 모두 감소시킬 것”
“청년기 자립 지원 정책 등으로 결혼 선택 여건 확보해야”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초혼 연령이 늦어지는 만혼화가 심화하면서 미혼인구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결혼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 변화, 여성의 노동참여 확대 등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또 만혼, 비혼 등 결혼 행태 변화로 인한 미혼인구 증가가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8일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자료에서 이같이 전하며, 초혼 연령은 남성의 경우 2000년 29.3세에서 2022년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빠르게 늘었다고 밝혔다.
근래에는 만혼의 비혼화가 실현되는 경향까지 관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 비중인 생애미혼율은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만혼과 비혼화가 진행되면서 미혼인구 비중은 전연령대에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인구 전체로는 지난 20여 년간 미혼인구 비중이 3.2%p 상승했는데, 특히 핵심연령층 내 미혼인구 비중이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p 증가하면서 총인구의 미혼율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학력 수준별로 살펴보면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고학력 남성에 비해 높은 반면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은 고학력 여성에 비해 낮았다. 학력 수준별 미혼비중 격차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됐다. 한편 고학력 인구의 경우에는 성별 미혼율 격차는 크지 않으며, 이를 연령대별로 세분해 살펴봐도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미혼인구 증가에 따라 노동시장 내 미혼 비중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데, 미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상반된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선 남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0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3%p, 16%p 높고 실업률은 약 4%p 낮았다.
또한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한은은 혼인율 하락으로 남성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남성의 고용 하락 및 실업 증가(extensive margin)와 평균 근로시간(intensive margin)이 모두 줄어들면서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0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9%p, 16%p 낮았다. 또한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은은 “미혼인구 비중의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extensive margin)과 평균 근로시간(intensive margin)을 높여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혼화 추세에 따른 장기 노동공급 전망을 보면,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여성의 노동공급을 늘리고 남성의 노동공급은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난 10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커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만혼, 비혼 등 결혼 행태 변화로 인한 미혼인구 증가는 거시적 노동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로 인해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상했다.
혼인율 하락에 따른 미혼인구 증가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남성의 노동공급을 줄이고 출산율을 낮춰 미래의 노동공급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은은 “인구 미혼화 대응 정책은 혼인율을 높여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는 완화정책(Mitigation Policy)과 함께 미혼인구의 특성에 맞게 근로환경을 개선하여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정책(Adaptation Policy)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청년층의 장기 취업난, 고용 불안정, 높은 주거비용, 높은 경쟁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결혼에 대한 기회비용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청년기의 자립을 지원하는 정책은 결혼 의사가 있는 경제주체들이 결혼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은은 8일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자료에서 이같이 전하며, 초혼 연령은 남성의 경우 2000년 29.3세에서 2022년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빠르게 늘었다고 밝혔다.
근래에는 만혼의 비혼화가 실현되는 경향까지 관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 비중인 생애미혼율은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만혼과 비혼화가 진행되면서 미혼인구 비중은 전연령대에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인구 전체로는 지난 20여 년간 미혼인구 비중이 3.2%p 상승했는데, 특히 핵심연령층 내 미혼인구 비중이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p 증가하면서 총인구의 미혼율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학력 수준별로 살펴보면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고학력 남성에 비해 높은 반면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은 고학력 여성에 비해 낮았다. 학력 수준별 미혼비중 격차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됐다. 한편 고학력 인구의 경우에는 성별 미혼율 격차는 크지 않으며, 이를 연령대별로 세분해 살펴봐도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미혼인구 증가에 따라 노동시장 내 미혼 비중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데, 미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상반된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선 남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0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3%p, 16%p 높고 실업률은 약 4%p 낮았다.
또한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한은은 혼인율 하락으로 남성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남성의 고용 하락 및 실업 증가(extensive margin)와 평균 근로시간(intensive margin)이 모두 줄어들면서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0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9%p, 16%p 낮았다. 또한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은은 “미혼인구 비중의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extensive margin)과 평균 근로시간(intensive margin)을 높여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혼화 추세에 따른 장기 노동공급 전망을 보면,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여성의 노동공급을 늘리고 남성의 노동공급은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난 10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커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만혼, 비혼 등 결혼 행태 변화로 인한 미혼인구 증가는 거시적 노동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로 인해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상했다.
혼인율 하락에 따른 미혼인구 증가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남성의 노동공급을 줄이고 출산율을 낮춰 미래의 노동공급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은은 “인구 미혼화 대응 정책은 혼인율을 높여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는 완화정책(Mitigation Policy)과 함께 미혼인구의 특성에 맞게 근로환경을 개선하여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정책(Adaptation Policy)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청년층의 장기 취업난, 고용 불안정, 높은 주거비용, 높은 경쟁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결혼에 대한 기회비용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청년기의 자립을 지원하는 정책은 결혼 의사가 있는 경제주체들이 결혼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2“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3“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4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5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
6'트럼프의 입' 백악관 입성하는 20대 女 대변인
7주유소 기름값 5주 연속 상승…“다음주까지 오른다“
8트럼프에 뿔난 美 전기차·배터리업계…“전기차 보조금 폐지 반대”
9"백신 맞고 자폐증" 美 보건장관의 돌팔이 발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