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노년층 제조업 취업자 60만명 육박, 청년층 첫 추월

9년새 60세 이상 비중 5%→13%…20대 이하는 7만명 감소

한 구직자가 채용 행사 안내문을 살피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제조업 취업자의 연령대가 빠르게 높아지면서 노년층 취업자 수가 60만명에 육박해 처음으로 청년층을 넘어섰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전년보다 5만1000명 늘어난 59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대 이하는 전년보다 3만3000명 줄어든 55만5000명으로 나타나, 60세 이상보다 4만4000명 적었다. 제조업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10∼20대보다 많은 건 2014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작년이 처음이다.

최근 9년 새 연령대별 변화를 살펴보면 50대를 기점으로 양분돼 50대 이상은 늘어나지만 40대 이하는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014년 23만1000명에서 작년 59만9000명으로 36만8000명 급증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5.2%에서 2021년 10%를 넘더니 지난해는 13.4%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 퇴직하지 않고 계속 일하려는 욕구 등으로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50대도 2014년 103만6000명에서 작년 108만4000명으로 4만8000명 늘었다.

반면 경제 주축이 되는 30대와 40대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장 많이 줄어든 연령대는 30대다. 30대는 2014년 124만7000명에서 작년 105만7000명으로 19만명 감소했다. 40대도 9년 새 15만4000명 줄어 작년 116만5000명을 기록했다.

20대 이하는 2014년 62만5000명에서 작년 55만5000명으로 7만명 감소했다. 오랜 기간 청년 최다 취업 업종으로 꼽혔던 제조업은 청년의 제조업 기피 현상, 고졸 취업 청년의 감소 등으로 취업자가 줄고 있다. 작년 20대 제조업 취업자는 54만5000명으로 숙박·음식점업 취업자(57만4000명)에 밀리기도 했다.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가 미국, 일본과 비교해 빠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21년 43.0세로, 2011년(39.2세)보다 3.8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일본은 41.6세에서 43.1세로 1.5세 증가, 미국은 44.1세에서 44.2세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32%·김문수 12%...“국힘, 尹 정리해야” 50%

2‘와’ 애플·엔비디아 등 美 'M7' 시총 2700조원 ‘폭등’…왜?

3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자산 효율성 높인다

4관세 90일 유예...한시름 놓은 삼양식품, 향후 대책은

5비피엠지, 신규 서비스 및 일본 진출로 생태계 확장 본격화

6이재명, 21대 대선 출마 선언…"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7중국 지역 특색 맞는 균형 전략 추진한다

8트럼프發 훈풍에 코스피 5% 급등…사이드카 발동

9 이재명, 대선 출마 선언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실시간 뉴스

1 이재명 32%·김문수 12%...“국힘, 尹 정리해야” 50%

2‘와’ 애플·엔비디아 등 美 'M7' 시총 2700조원 ‘폭등’…왜?

3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자산 효율성 높인다

4관세 90일 유예...한시름 놓은 삼양식품, 향후 대책은

5비피엠지, 신규 서비스 및 일본 진출로 생태계 확장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