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금리인하 기대에 투심 회복…지난해 채권 상장·잔액 ‘역대 최고치’

회사채 202조9000억원...전년보다 28% ↑

[자료 한국거래소]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해 채권 신규상장과 상장잔액이 금리 인상 기조 전환 기대감과 회사채 투자심리 회복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채권 신규상장 규모가 81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16조7000억원(17%) 증가한 수준으로 사상 최고치다. 유형별로는 특수채가 386조7000억원으로 15%, 국채가 222조5000억원으로 12%, 회사채가 202조9000억원으로 28% 증가했다.

거래소는 “2022년 위축됐던 회사채 신규상장 규모가 작년 신용스프레드 축소와 통화당국의 정책기조 전환 기대(금리 정점 인식) 등으로 증가 추세로 전환해 크게 늘었다”면서 “통안채와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의 비금융 공사채 상장이 늘면서 특수채 신규상장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방채는 4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7% 감소했다. 지난해 신규상장이 급증하면서 상장잔액도 전년 대비 139조5000억원(6%) 증가한 2491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139조5000억원(6%)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로는 국채 1078조1000억원, 특수채 813조1000억원, 회사채 571조2000억원, 지방채 29조원이 상장돼 있다. 상장잔액 증가와 함께 상장 종목 수도 전년 대비 808종목(5%) 늘어난 1만6556종목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거래소는 “채권 상장잔액은 2009년 1000조원, 2020년 2000조원을 돌파한 뒤 빠르게 성장하면서 채권시장이 자금조달의 중요한 한 축으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6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7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8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9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실시간 뉴스

1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2"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3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4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5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