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외직구 3조원 넘겨...미국 제치고 1위로
중국 해외직구 지난해 비교해 70% 증가
전체 해외직구 중 45% 차지...비중 커져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온 전자상거래 물품 건수는 8881만5000건이다. 지난해 5215만4000건과 비교해 70.3% 늘었다.
중국 해외직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통관된 전자상거래 물품은 1억3144만3000건으로 36.7% 늘었다. 전체 해외직구가 늘어나는 속도보다 중국에서 물건을 직접 구매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가 가파른 셈이다.
중국 해외직구의 규모는 2020년 2748만3000건에서 2021년 4395만4000건, 2022년 5215만4000건 등으로 늘고 있다.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3%, 2021년 50%, 2022년 54% 등으로 커지고 있다. 지난해에도 중국 해외직구가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8%였다.
금액으로 보면 지난해 중국 해외직구의 규모는 23억5900만 달러(약 3조1000억원)였다. 2022년 14억8800만 달러(약 1조9795억원)보다 5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외직구는 47억2500만 달러(약 6조2859억원)에서 52억7800만 달러(약 7조215억원)로 11.7% 증가했다.
전체 해외직구에서 중국 해외직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31%에서 45%로 커지며, 중국은 지난해 미국을 제치고 해외직구 국가 1위에 올랐다. 미국의 직구 규모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14억5300만 달러(약 1조9329억원)다.
한편,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은 초저가 상품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알리 익스프레스는 지난해 10월 국내 상품 전문관인 케이베뉴(K-베뉴)를 개설했다. 국내 시장을 공략하는 데 속도를 내기 위해 판매 영역도 가공식품과 신선식품 등으로 확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