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장관 다녀간 르노 부산공장...“상생의 노사관계 노력”
15일 현장 점검 후 모범적 노사관계 위한 간담회

이날 노사 간담회에는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을 비롯한 르노코리아 임원진, 김동석 르노코리아 노조위원장,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김준휘 부산고용노동청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자동차 산업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제정된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모범적 노사관계 구축 및 정부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간담회에서 “르노코리아는 ‘본 프렌치, 메이드 인 코리아’(Born French, Made in Korea)를 토대로 여러 협력업체들과 함께 부산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며 “오는 6월 부산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할 새로운 중형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비롯해 다양한 신차를 국내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내년 후반에는 폴스타4 전기차도 생산할 예정”이라고 부산공장에서의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하나의 라인에서 최대 8종까지 혼류 생산이 가능한 부산공장의 생산 유연성은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온 임직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상생의 노사관계를 위해 노동조합과 지속적인 소통을 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석 노조위원장은 지난해 판매 감소와 생산 물량 축소로 생산 직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설명한 뒤 “고용 안정은 소비자들이 만들어 주는 것”이라며 “올 하반기 신차 준비에 노사가 함께 만전을 기하고 신차 판매 성공을 위해 노조도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정식 장관은 “경쟁력 있는 산업전환을 이루기 위해 우수한 인적 자원과 부품업체와의 협업이 중요한 만큼, 르노코리아의 미래차 프로젝트가 부품업체의 고용안정까지 가져오는 미래차 전환의 우수 모델이 되길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한편, 르노코리아는 지난 3월 부산시와 미래차 생산 설비 투자 계획을 중심으로 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향후 3년 간 부산공장에 하이브리드카(HEV)·전기차(EV) 등 미래차 생산을 위한 설비 교체 비용으로 1180억원을 투자하고, 신규 인력 200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