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전자, 온 디바이스 AI 맞춤형 D램 개발…“업계 최고 동작 속도”

제품 검증 후 하반기 양산

삼성전자 ‘LPDDR5X’ D램 제품 이미지. [사진 삼성전자]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고 동작 속도를 지닌 D램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10.7Gbps(Gigabit per second·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D램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LPDDR5X D램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모바일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 검증 후 하반기 양산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 D램이 ‘온 디바이스 AI’(On-Device AI·서버 연결 없이 기기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에 적합한 성능을 지녔다고 소개했다. 온 디바이스 AI 시장 확대에 따라 저전력∙고성능 LPDDR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맞춤형 제품이란 설명이다.

삼성전자 측은 이번 제품에 대해 “12나노급 LPDDR D램 중 가장 작은 칩으로 구현한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이라며 “온 디바이스 AI 시대에 최적화됐다”고 전했다. 모바일 분야를 넘어 ▲AI PC ▲AI 가속기 ▲서버 ▲전장 등 다양한 응용처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저전력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능과 속도에 따라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가변 최적화 기술’과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 기술’ 등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전 세대 제품보다 소비전력을 약 25% 개선했다. 또 전 세대 제품 대비 ▲성능 25% ▲용량 30% 이상 각각 향상됐다.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로 최대 32기가바이트(GB)를 지원한다.

‘전력 가변 최적화’는 프로세서에 공급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성능과 전력 소모를 함께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저주파수 구간을 확대해 전력 소모를 개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기술을 적용한 이번 제품이 “모바일 기기에서는 더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제공하고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장(부사장)은 “저전력·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PDDR D램의 응용처가 기존 모바일에서 서버 등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가오는 온 디바이스 AI시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끊임없이 혁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2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3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4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5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6‘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7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8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9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실시간 뉴스

1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2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3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4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5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