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전자, 온 디바이스 AI 맞춤형 D램 개발…“업계 최고 동작 속도”

제품 검증 후 하반기 양산

삼성전자 ‘LPDDR5X’ D램 제품 이미지. [사진 삼성전자]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고 동작 속도를 지닌 D램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10.7Gbps(Gigabit per second·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D램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LPDDR5X D램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모바일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 검증 후 하반기 양산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 D램이 ‘온 디바이스 AI’(On-Device AI·서버 연결 없이 기기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에 적합한 성능을 지녔다고 소개했다. 온 디바이스 AI 시장 확대에 따라 저전력∙고성능 LPDDR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맞춤형 제품이란 설명이다.

삼성전자 측은 이번 제품에 대해 “12나노급 LPDDR D램 중 가장 작은 칩으로 구현한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이라며 “온 디바이스 AI 시대에 최적화됐다”고 전했다. 모바일 분야를 넘어 ▲AI PC ▲AI 가속기 ▲서버 ▲전장 등 다양한 응용처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저전력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능과 속도에 따라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가변 최적화 기술’과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 기술’ 등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전 세대 제품보다 소비전력을 약 25% 개선했다. 또 전 세대 제품 대비 ▲성능 25% ▲용량 30% 이상 각각 향상됐다.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로 최대 32기가바이트(GB)를 지원한다.

‘전력 가변 최적화’는 프로세서에 공급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성능과 전력 소모를 함께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저주파수 구간을 확대해 전력 소모를 개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기술을 적용한 이번 제품이 “모바일 기기에서는 더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제공하고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자신했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장(부사장)은 “저전력·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PDDR D램의 응용처가 기존 모바일에서 서버 등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가오는 온 디바이스 AI시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끊임없이 혁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크림, 티켓 거래 350% 성장…‘문화 소비 플랫폼’으로 진화

2“경기 어려운데 숨통 트이네”...카드수수료 인하에 가맹점주는 대환영

3한국투자증권, 상반기 리테일 영업 신입사원 공개채용

4메리츠증권 Super365, 예탁자산 5조원·고객수 10만명 달성

5"아파트에서 살래요"…작년 주택거래 아파트 비중 역대 최고

6“더는 못버텨, 실패한 정책”…카드노조 “수익 보존 장치 마련해 달라”

7퇴출 기준 높인 한국 증시… 일본·미국처럼 효과 볼까

8GITEX 2024에서 주목받은 K-스타트업…”해외 시장 도전 중”

9키움증권, AI 기반 웹툰 형식 리포트 ‘리포툰’ 출시

실시간 뉴스

1크림, 티켓 거래 350% 성장…‘문화 소비 플랫폼’으로 진화

2“경기 어려운데 숨통 트이네”...카드수수료 인하에 가맹점주는 대환영

3한국투자증권, 상반기 리테일 영업 신입사원 공개채용

4메리츠증권 Super365, 예탁자산 5조원·고객수 10만명 달성

5"아파트에서 살래요"…작년 주택거래 아파트 비중 역대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