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E-GMP 기반 전기차, 세계 주요 충돌평가서 최고 수준 성적표
E-GMP 5개 모델, ‘유로 NCAP’서 별 다섯 개 획득
IIHS 충돌평가서도 전 모델 TSP 이상 등급 받아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전기차 모델들이 세계 주요 충돌안전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성적표를 받고 있다.
2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전용 전기차 5개 모델 ▲제네시스 GV60 ▲현대차 아이오닉 5 ▲현대차 아이오닉 6 ▲기아 EV6 ▲기아 EV9은 유럽의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 모두 최고 등급인 별 다섯을 획득했다.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에서 발표한 충돌평가에서도 전 모델 톱 세이프티 픽(TSP) 이상 등급을 받았다. IIHS는 최고 안전성을 나타낸 차량에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양호한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는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을 매긴다.
지난 2020년 12월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 ‘E-GMP’를 최초로 공개하며 친환경 모빌리티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발걸음을 이어오고 있다.
전동화 시대를 위해 개발된 E-GMP는 배터리를 탑재하는 전기차의 특성에 맞춰 기존 내연기관 플랫폼과는 차별화되는 특별한 설계와 구조를 더했다.
E-GMP는 배터리팩을 구조물로 활용하는 설계로 차체 강성을 높였다. 또 차체 측면에서 배터리 바깥에 위치한 사이드실의 내부에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측면 충돌 시에도 하부 프레임과 배터리 케이스 등으로 충격을 분산시켜 안전성을 확보했다.
아울러 차체와 배터리 간 8점 체결 구조도 적용했다. 8점 체결 구조는 8개의 볼트가 배터리 팩을 관통하는 구조다. 이를 활용할 경우 차체와 배터리가 견고하게 결합 되는 이점이 있다.
후방 추돌 시에는 뒤쪽 멤버(프레임 강성을 보조하며 바퀴를 지탱하는 서스펜션)의 변형을 의도적으로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한다. 하부 멤버는 핫 스탬핑 강판으로 보강해 세이프티존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중 골격 구조를 적용해 전면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로드패스(충돌 시 충격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최적화했다. 스몰오버랩(차량의 전면부 중 일부만 장애물에 부딪히는 충돌 상황)과 같이 충돌 에너지가 전면부 일부에 집중되는 상황을 고려해 더블박스 멤버 설계(차량 차체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계 기법)로 다중 골격 구조를 완성했음.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방위적인 탑승자 안전을 사수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전용 전기차 5개 모델 ▲제네시스 GV60 ▲현대차 아이오닉 5 ▲현대차 아이오닉 6 ▲기아 EV6 ▲기아 EV9은 유럽의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 모두 최고 등급인 별 다섯을 획득했다.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에서 발표한 충돌평가에서도 전 모델 톱 세이프티 픽(TSP) 이상 등급을 받았다. IIHS는 최고 안전성을 나타낸 차량에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양호한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는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을 매긴다.
지난 2020년 12월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 ‘E-GMP’를 최초로 공개하며 친환경 모빌리티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발걸음을 이어오고 있다.
전동화 시대를 위해 개발된 E-GMP는 배터리를 탑재하는 전기차의 특성에 맞춰 기존 내연기관 플랫폼과는 차별화되는 특별한 설계와 구조를 더했다.
E-GMP는 배터리팩을 구조물로 활용하는 설계로 차체 강성을 높였다. 또 차체 측면에서 배터리 바깥에 위치한 사이드실의 내부에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측면 충돌 시에도 하부 프레임과 배터리 케이스 등으로 충격을 분산시켜 안전성을 확보했다.
아울러 차체와 배터리 간 8점 체결 구조도 적용했다. 8점 체결 구조는 8개의 볼트가 배터리 팩을 관통하는 구조다. 이를 활용할 경우 차체와 배터리가 견고하게 결합 되는 이점이 있다.
후방 추돌 시에는 뒤쪽 멤버(프레임 강성을 보조하며 바퀴를 지탱하는 서스펜션)의 변형을 의도적으로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한다. 하부 멤버는 핫 스탬핑 강판으로 보강해 세이프티존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중 골격 구조를 적용해 전면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로드패스(충돌 시 충격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최적화했다. 스몰오버랩(차량의 전면부 중 일부만 장애물에 부딪히는 충돌 상황)과 같이 충돌 에너지가 전면부 일부에 집중되는 상황을 고려해 더블박스 멤버 설계(차량 차체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계 기법)로 다중 골격 구조를 완성했음.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방위적인 탑승자 안전을 사수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름다운 겨울 만끽”…홀리데이 시즌 기념 ’샤넬 윈터 테일 홀리데이 아이스링크’ 오픈
2신한은행, 강남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3"거액 치료비 선납했는데 의료기관 폐업"…소비자 주의 요구
4“환율 1300원에 환전해줘” 토스뱅크 외화통장, 신규 기능 추가
5신한금융, AI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성료…대상 3개팀 선정
6업비트, 보이스피싱 피해자 380여명에 85억원 환급
7DGB금융, 경영관리·인사 부서장에 외부 인재 영입…인력구조 혁신
8트럼프, '게이츠 사퇴' 법무장관에 검사 출신 팸 본디 지명
9현대제철, 양궁 꿈나무 위한 '양궁장 체험 행사' 개최